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임상전문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59582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저자 양진희

형태사항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신성례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임상전문간호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삼육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이누미야 요시유키(2002)가 개발한 총 67문항으로 구성된 죽음 인식 도구, Paloutzian & Ellison(1982)이 개발한 영적 안녕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를 최상순(1990)이 번역하고 이화인과 최화숙(2003)이 수정, 보완한 20문항의 영적 안녕 도구, 이연옥(2004)이 개발한 42문항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에 있는 노인요양병원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1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연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 각 노인요양병원의 허락을 받아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대상자에게 2015년 7월 16일부터 2015년 8월 1일 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은 문항평균 7점 만점에 평균 4.30점으로 생명존중의지가 평균 4.6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죽음의 부정적 의미가 평균 4.59점, 죽음의 긍정적 의미는 평균 4.54점, 죽음 불안은 평균 3.77점, 죽음 관여도가 평균 3.47점으로 가장 낮았다. 영적 안녕은 문항평균 5점 만점에 평균 3.40점이었으며, 실존적 안녕이 평균 3.53점으로 높았고, 종교적 안녕이 평균 3.27점으로 낮았다.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문항평균 5점 만점에 평균 3.84점으로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이 평균 3.95점,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이 평균 3.93점, 업무량 과중은 평균 3.92점,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평균 3.92점,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은 평균 3.91점, 임종환자에 대한 시간할애의 어려움은 평균 3.79점,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이 평균 3.59점이었다.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종교, 총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하위영역인 임종환자에 대한 시간할애의 어려움은 총 임상경력에서,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은 종교에서, 업무량 과중은 총 임상경력에서,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은 요양병원 근무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점수가 평균보다 높으면 ‘상’그룹으로 평균보다 낮으면 ‘하’그룹으로 구분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죽음 인식과 영적 안녕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상’인 그룹에서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하’인 그룹보다 생명존중의지, 영적 안녕,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이 높게 나타났다. 4.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의 평균을 ‘상’, ‘하’ 그룹으로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종교적 안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생명존중의지와 영적 안녕감이 높은 간호사들에게는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되며,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임종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주요 용어 : 죽음 인식, 영적 안녕, 임종간호 스트레스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Ⅵ. 결론 및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2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 김명숙 외 2018  120
15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150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8
149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8
1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147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14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145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최재필 2017  117
14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14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관한 연구 2010  116
142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141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1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관련 신문 기사의 텍스트네트워크분석 / 박은준 외 2018  114
13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4
138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13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2014  113
13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11
135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10
134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133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동향 : 한국 자살현상의 특징과 인류학적 연구의 가능성 / 이현정 2010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