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66364 
일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주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http://www.riss.kr/link?id=T14066364  

     

  • 기타서명

    Knowledge and attitudes of residents' primary guardian in a long term care hom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 저자

    최성실                                       

  • 형태사항

    75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6. 2

  • DDC

    610.73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생애 말 삶의 질과 죽음의 질을 높이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필요성과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사전의료의향서는 국외에서는 필수지침이나 국내에서는 ...
  • 생애 말 삶의 질과 죽음의 질을 높이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필요성과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사전의료의향서는 국외에서는 필수지침이나 국내에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노환, 치매, 만성질환 등으로 인해 생애 말 의사결정을 하는 것에 있어 취약하며 작성과정에서 가족들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노인은 가족구성원에게 의존적이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가족의 태도는 환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가족들이 현재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해 가지는 태도는 향후 노인들의 태도와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 주부양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가족으로 둔 대상자들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S시의 한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가족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대 일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 정의 5
  • Ⅱ. 문헌고찰 7
  • 1. 사전의료의향서의 의미와 배경 7
  • 2.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10
  • 3.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과 가족들의 역할 15
  • Ⅲ. 연구방법 20
  • 1. 연구설계 20
  • 2. 연구대상 20
  • 3. 연구도구 21
  • 4. 자료수집방법 22
  • 5. 자료분석방법 23
  • Ⅳ. 연구결과 24
  •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지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24
  •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지식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34
  • 3.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7
  • Ⅴ. 논의 41
  • 1.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지식 41
  • 2.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43
  • 3.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47
  • 4. 연구의 제한점 49
  • Ⅵ. 결론 및 제언 51
  • 1. 결론 51
  • 2. 제언 52
  • Ⅶ. 참고문헌 54
  • 부록 64
  • Abstract 7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5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죽음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상하 외 2018  261
351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5
350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선교신학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옥필훈 2016  268
34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70
34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웰다잉법 / 맹주만 2016  273
347 20 죽음과 죽어감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의 죽음과 죽음 극복 가능성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안남희 2017  273
346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5
34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유형별 규범해석과 사회적 인식도 2008  275
344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김외숙 2019  275
343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6
342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에 관한 형법이론적 고찰 2010  276
34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사책임과 입법적 고찰 / 최은희 2006  277
340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 예방 캠페인이 자살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HBM)을 중심으로 / 이주민 2017  277
339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강지혜 2019  277
338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8
33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33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존엄케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강성자 2018  278
33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2
334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4
33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