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유럽헌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020303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A Study on the Prior Restraint System of the Advertisement for a Medical Service

            

http://www.riss.kr/link?id=A60020303

 

  • 저자명

    권용진, 임영덕                       

  • 학술지명

    유럽헌법연구               

  • 권호사항

    Vol.10 No.- [2011]                          

  • 발행처

    유럽헌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11-456(4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초록 (Abstract)

  • 의료인·의료기관·의료법인이 의료서비스에 관한 사항과 의료인·의료기관에 관한 사항을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거나 제시하는' 의료광고는 국민의 건강�...
  • 의료인·의료기관·의료법인이 의료서비스에 관한 사항과 의료인·의료기관에 관한 사항을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거나 제시하는' 의료광고는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의료광고심의위원회에 의한 사전심의를 통과하여야 비로소 광고할 수 있다. 이는 잘못된 의료광고는 국민의 건강권에 심각한 침해가 있을 수 있다는 측면을 감안하면, 의료제품이나 의료서비스에 있어서 광고의 객관성과 신뢰성은 다른 분야에서 보다도 더욱 강하게 담보되어야 한다는 사상에 기초한 규제이다. 그리고 최근 의료법 개정을 통하여, 의료광고의 사전심의를 거쳐야 하는 의료광고의 범위를 더 확대하였다. 이는 우리 입법자들은 의료 광고시장의 자정기능에 대하여 여전히 뿌리 깊은 불신을 가지고 있으며, 의료광고에 있어서만큼은 사상의 자유시장(the marketplace of ideas)의 기능에 대하여 신봉하지 못하는 것 같아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규제로 말미암아 의료광고를 통하여 알릴 수 있는 의료정보는 더 많이 제한될 것이며, 앞으로도 의료광고가 의료정보의 비대칭성을 완화시키는데 있어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Abstract>
  • I. 들어가며
  • II. 의료광고의 현행 규제와 문제점
  • 1. 의료광고에 대한 법적 규제
  • 2.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와 그 문제점
  • III. 의료광고에 관한 헌법적 보장
  • 1. 의료광고의 보장법리
  • 2. 상업적 표현(광고)에 대한 제한 법리
  • 3.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대한 헌법적 검토
  • IV. 의료광고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1. 일본
  • 2. 미국
  • 3. 독일
  • 4. 비교법적 고찰이 주는 시사점
  • V.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향
  • 1. 의료 환경의 변화와 의료광고체계 개선의 필요성
  • 2. 현재의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의 문제와 그 개선의 필요성
  • 3.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안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92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박상은 2014  550
591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8
590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2010  548
58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7
588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5
58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4
58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58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2016  542
584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40
583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 이영옥 2012  537
582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 최순옥 2014  536
581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35
580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 / 최령, 황병덕 2012  533
57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2
57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57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혈중 Visfatin 농도와 식욕부진의 관계 / 이소진, 이준용, 최윤선, 이준영 2014  531
576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1
57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성년후견인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김나래 2014  529
574 20 죽음과 죽어감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 입원 노인의 연명치료 현황 / 박수현 2016  527
57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 변미경 외 2017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