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신학과 실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23686 
안락사와 존엄사 - 목회상담을 위한 메타윤리적 연구 -


http://www.riss.kr/link?id=A102123686  


  • 저자명

    홍순원                                         

  • 학술지명

    신학과 실천               

  • 권호사항

    Vol.51 No.- [2016]                                                       

  • 발행처

    한국실천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39-460(2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안락사 논의의 근본적인 동기는 견디기 힘든 고통의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환자의 자율적 결단을 존중하려는 데 있다. 환자의 자율성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은 우리가 인정하지 않을...
    • 안락사 논의의 근본적인 동기는 견디기 힘든 고통의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환자의 자율적 결단을 존중하려는 데 있다. 환자의 자율성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은 우리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중요한 가치들이다. 고통의 제거와 환자의 자율성이 죽음을 선택하는 상황과 그 상황 속에서 의사의 의료행위에 적용될 경우 사람들의 태도는 나누어진다. 엄밀히 말하자면 환자의 결단을 놓고 정당성과 부당성을 논한다는 것 자체가 외람된 것일 수 있다. 생명의 존엄성관 관련하여 안락사를 반대한다면 우리는 또한 동일한 근거를 가지고 안락사를 찬성해야 한다. 안락사에 대한 논의가 좀처럼 합치점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환자의 자율성과 극심한 고통이 동시에 수용되어야 할 뿐 아니라 그것들의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이다. 안락사의 사례에서는 객관적 규범 대신에 환자와 의사의 주관적 판단이 결정적 역할을 하며 환자와 의사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전제된다. 안락사에 대한 일반적인 찬부양론은 너무 광범위하고 불명료하게 설정된 것이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죽음은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암시한다. 그것은 개체적이며 생물학적 현상이 아니라 인격적이며 관계적인 사건이다. 죽음을 선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끝까지 죽음을 거부하는 것도 생명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에 대립될 수 있다. 인간 생명이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라면 인간은 자신의 생명에 대한 청지기이며 그것의 마감도 인간이 좌우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자의적 간접적, 수동적 안락사의 길을 열어놓는 것이다. 환자 자신의 결단으로 죽음을 수용하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기독교적일 수 있다. 그것은 생명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인식하고 응답하는 것이 된다. 이제 안락사에 대한 앞으로의 논의방향은 통전적인 의미에서 “생명마감돌봄”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안락사의 개념규정에 있어서 모호성
    • III. 안락사의 근거설정에 있어서 모호성
    • IV. 노아의 질서의 표징으로서 안락사
    • V. 미끄러운 경사면 논쟁의 이중적 함의
    • VI. 안락사의 기독교적 수용방향
    • VII. 나가는 말: 존엄사의 기독교 생사학적 지평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84
    31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46
    311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5
    310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은자 외 2016  294
    30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4
    308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4
    30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30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30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의 한계 / 오세혁, 정화성 2010  78
    304 20 죽음과 죽어감 인지면담을 이용한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모델 개발 / 김신미 2013  136
    30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30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30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홍성애 2010  146
    300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과 불안과의 상관관계 / 고지운 2013  229
    299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논의와 내용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이동익 2008  56
    29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의 중단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 석희태 2009  252
    29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이 일반인의 연명치료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 총배령 2015  294
    29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4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 목회상담을 위한 메타윤리적 연구 / 홍순원 2016  240
    29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 김종일 2016  161
    293 20 죽음과 죽어감 결정무능력환자와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10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