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26302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in the UK

                                   

  • 저자명

    이주희(Lee Joo Hee), 조한상(Cho Hansang)                                               

  • 학술지명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 권호사항

    Vol.82 No.- [2010]                                                           

  • 발행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발행처 URL

    http://www.kic.re.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79-413(3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초록 (Abstract)

  • 최근 영국에서는 조력 자살의 문제가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의 안락사 지원 병원으로 알려져 있는 스위스의 디그니타스 클리닉에서 115명 이상의 영국인들이 ...
  • 최근 영국에서는 조력 자살의 문제가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의 안락사 지원 병원으로 알려져 있는 스위스의 디그니타스 클리닉에서 115명 이상의 영국인들이 자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영국 내외에서 조력자살에 대한 찬반, 조력자살의 합법화, 조력자살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고통완화 치료의 개선 등에 대한 논쟁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가 아직까지 조력자살에 대한 현행 영국법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즉 조력자살은 영국에서 여전히 엄격하게 금지되고, 타인의 자살에 도움을 준 사람은 1961년 자살법 제2조 제1항에 의하여 형사처벌 된다.
    다만 최근 영국에서는 조력자살에 대한 공공기소국장의 기소지침이 마련되어 누군가를 조력자살로 기소하려고 할 때 고려하고자 하는 다양한 공익적 요소들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어 있다. 이 기소지침은 조력자살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의사결정과 그로 인한 법적 효과에 대하여 명확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영국은 이른바 자살관여죄를 원칙적으로 ‘예외 없이’ 처벌하고 있는 국가로서, 독일이나 스위스와 같은 국가의 법제와 확연히 구별되며, 우리나라의 법제와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면 우리나라에서 조력자살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될 경우 영국의 경험과 고민은 우리나라의 안락사 연구와 법제도의 나아갈 길에도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출발점 : ‘안락사’와 ‘조력자살’
    • Ⅲ. 영국의 조력자살 관련 주요 사례 : 디그니타스로의 자살여행
    • Ⅳ. 조력자살과 관련된 여론의 동향과 합법화의 시도
    • Ⅴ. Debby Purdy사건과 대법원의 판결
    • Ⅵ. 2010년 영국공공기소국의 기소지침
    • Ⅶ. 결론 : 영국의 논의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2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35
    151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 최순옥 2014  536
    150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 이영옥 2012  537
    149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9
    14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2016  541
    14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4
    14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145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4
    14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6
    143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7
    »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2010  548
    141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박상은 2014  550
    1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51
    13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51
    13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이민혜 2014  553
    13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조계화 외 2015  555
    13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조병필 2005  559
    135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134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2
    1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