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68716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Attitude of post transfer among hospice unit nurses

                                     

  • 저자

    권예원

  • 형태사항

    4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부록 수록
    지도교수: 김분한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35-3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 전공 2016.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전문화된 간호요구가 대두됨에 따라 간호 인력의 전문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간호부서의 근무부서이동은 전문성에 적합한 이동보다는 일방적이고 갑작스럽게 이루어져 전문성을 유지...
  • 전문화된 간호요구가 대두됨에 따라 간호 인력의 전문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간호부서의 근무부서이동은 전문성에 적합한 이동보다는 일방적이고 갑작스럽게 이루어져 전문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한다. 특히 호스피스 간호는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의 가족을 대상으로 간호하기 때문에 일반병동과는 다른 가치관과 사명감을 가지고 있어야 함으로 더욱 그렇다.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부서이동 태도를 파악하여 호스피스전문 간호의 질 향상과 간호부서의 효율적인 인사관리에 도 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에 소재한 10개 종합병원 내의 산재형 또는 병동형 호 스피스 완화의료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는 간호사 111명을 편의추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은 30대가 39.6%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64.9%가 가지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병원경력은 7년 이상이 46.8%, 현 부서 경력은 6개월 이상 ~ 1 년 미만, 1년 이상 ~ 3년 미만이 각 35.1%로 가장 많았고, 현 부서에 대한 만 족도는 보통이상이 90.9%로 나타났다. 근무부서이동 경험은 68.5%, 이동 경험 이 있는 경우 타의에 의한 이동 73.7% 였다. 정기적 부서이동의 필요성에 대 한 문항은 73%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적절한 부서이동 주기로는 3년 이상 ~ 5년 미만 56.8%, 적절한 사전 공지일의 평균은 35.02±19.07일이였다. 2. 근무부서이동 태도의 총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44.72±6.08이며, ‘타부서 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다양한 간호경험을 얻는 기회가 된다’, ‘간호의 전문성 확보를 어렵게 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 특성에서는 정기적 근무부서이동의 필요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근무부서이동을 원하는 이유에 대한 총점 평균과 표준편차는 38.00±7.55으 로 나타났다. 근무부서이동을 원하는 이유는 ‘잦은 임종으로 인한 두려움과 소 진’, ‘호스피스 팀과의 상호협조 어려움’ 순으로 높았다. 이는 호스피스간호 특 성상 팀 접근 서비스의 중요성과 호스피스전문 간호에서의 의미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4. 근무부서이동을 원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총점 평균과 표준편차는 34.47±4.50으로, ‘호스피스에서는 특수한 간호의 보람이 있으므로’, ‘현 호스피 스완화병동에 만족함’, ‘호스피스 대상 환자와 가족이 좋아서’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호스피스간호사는 잦은 임종으로 인한 두려 움과 소진, 호스피스 특성상 팀 접근 간호임에도 호스피스간호에 대한 특수한 보람과 만족감을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각 기관의 대표성이 없었으므로 호스피스간호사를 대 상으로 동일한 대표성을 갖는 반복연구를 제언하며, 호스피스간호사의 간호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한 특수한 사명감을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호스피스 가치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 근무부서이동 인사관리 내규가 재조정됨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ⅳ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 정의 ...................................................................................................................4
  • Ⅱ. 문헌고찰 .........................................................................................................................6 1. 호스피스 완화간호 ..................................................................................................6 2. 부서이동 .....................................................................................................................8
  • Ⅲ. 연구방법 ........................................................................................................................11 1. 연구설계 ....................................................................................................................11 2. 연구대상 ....................................................................................................................11 3. 연구도구 ....................................................................................................................11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12 5. 자료 분석방법 .........................................................................................................13 6. 연구의 제한점 .........................................................................................................13
  • Ⅳ. 연구결과 .......................................................................................................................14 1. 대상자의 특성 .........................................................................................................14 2. 근무부서이동태도 ...................................................................................................18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부서이동 태도 ..............................................................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2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25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
249 20 죽음과 죽어감 생의 마감에 관한 결정의 법적 측면 : 한국의 경우 / 박준석 2012  379
24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죽음불안 및 임종간호태도/김성자 2015  379
24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246 20 죽음과 죽어감 보훈병원에 내원한 국가유공자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및 윤리적 태도 / 안혜영 2014  380
24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1
244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주 형법상 자살관여행위 규제에 관한 입장과 그 시사점 / 임정호 2014  382
24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그리고 의사의 진료의무 2008  382
24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3
24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이경은 2017  387
24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90
2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2014  390
23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23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23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태도/황병덕, 최령, 박재우 2014  397
23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2007  397
234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23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