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00976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A study of Hospice Care Program in the Aging society

                                           

  • 저자

    이미정                                       

  • 형태사항

    ⅳ, 86 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강희갑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05.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5

초록 (Abstract)

  • 우리나라에서 말기 암으로 사망하는 수는 연 6만 명이 넘으며, 암 환자와 그 가족을 포함한 20-30만 명이 말기 암 자체와 말기 암 환자 관리를 위한 부담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말...
  • 우리나라에서 말기 암으로 사망하는 수는 연 6만 명이 넘으며, 암 환자와 그 가족을 포함한 20-30만 명이 말기 암 자체와 말기 암 환자 관리를 위한 부담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말기 암 환자들은 의료의 중심에서 소외되어 있었으며, 응급실을 전전하거나, 3차 기관에 장시간 입원하거나, 민간요법, 대체요법 등 비정상적인 의료 행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말기 암 환자의 병원 사망률이 1989년 12.9%에서 2000년 35.9%로 급증하며, 사망 전 1년 동안의 의료이용행태를 보면 87.5%가 종합병원에 입원하는 등 말기 암 환자의 부적절한 관리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와 60세 이상의 노인 암 환자 증가로 말기 암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호스피스는 환자가 남은 여생동안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죽음을 평안하게 맞이하고,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치료인 호스피스 제공되면서,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말기 암 환자에게 제공되는 무의미 한 치료에 대한 대안으로써 호스피스 대상자 선정들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할 경우 무의미한 치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말기환자와 그 가족을 전인적으로 돌보는 프로그램으로써 환자와 그 가족을 하나의 치료단위로 보며, 입원환자를 위한 활동, 가정의 환자를 위한 주간활동, 가정 호스피스, 사별 후의 추후관리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국문초록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1
    • 제 2 절 연구 범위와 방법 = 5
    • 제 2 장 호스피스의 이론적 배경 = 6
    • 제 1 절 호스피스의 개념 = 6
    • 제 2 절 호스피스의 유형과 기본원리 = 11
    • 제 3 절 호스피스 팀 = 16
    • 제 4 절 임종환자의 심리적·신체적 증상 = 24
    • 제 3 장 각 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現況 및 제도 = 32
    • 제 1 절 영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 33
    • 제 2 절 미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 35
    • 제 3 절 일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 38
    • 제 4 절 대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 44
    • 제 4 장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현황과 발전방안 = 49
    • 제1절 서언 = 49
    • 제2절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현황 = 51
    • 제3절 호스피스의 요구의 증대와 필요성 = 58
    • 제4절 호스피스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 61
    • 제5장 결론 및 제언 = 76
    • 參考文獻 = 79
    • ABSTRACT = 8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41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이 일반인의 연명치료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 총배령 2015  294
    41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장경희 2017  293
    41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가톨릭교회의 가정호스피스 현황과 활성화 방안 :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 장인우 2014  292
    40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은자 외 2016  292
    40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대하는 현대의학의 태도 비판 / 박중철 2017  291
    40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니체의 생사관을 중심으로- / 권미연 2017  290
    406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9
    40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정순태 2016  287
    40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과 환자 자기결정권에 대한 가정전문간호사의 태도와 인식 / 권예옥, 안성희 2013  286
    403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비교 고찰/김찬우,신수경 2018  285
    40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4
    40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2017  284
    400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399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 엄정경 2017  283
    39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2
    39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39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사책임과 입법적 고찰 / 최은희 2006  277
    »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7
    39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존엄케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강성자 2018  277
    393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강지혜 2019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