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435857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Social Worker s Knowledge of Advance Life Sustaining Care Directives and Experience of Aids End of Life Care Decision Making Process : Geriatric Hospital and Long Term Care Facility

                                    

  • 저자명

    한수연(Han, Soo-youn)                                              

  • 학술지명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 권호사항

    Vol.42 No.- [2016]                                                          

  • 발행처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Research Institute for Life and Culture SOGANG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87-329(4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사회복지 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경험 등을 측정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노인...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사회복지 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경험 등을 측정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노인요양병원 사회복지사 104명, 장기요양 입 소시설 사회복지사 297명, 총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1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방법인 평균, 표준편차,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 다. 또한 두 집단 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임종의료 결정 도움경험 등의 평균 차이 검증, 사회복지사 개인 및 시설 변수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의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하여 T-Test 분석을 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중에서 의료지식 의 경우 노인요양병원(2.20±0.87)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2.26±0.91)간 서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p〈0.05). 하지만 두 집단 간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에도 불 구하고, 두 집단 모두 환자나 가족에게 사전연명의료의향 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정도의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 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도움경험에서 도 노인요양병원(1.80±0.30)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1.36±0.31)간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p〈0.001). 노인요양병원에서는 종교(p〈0.05), 교육경험(p〈0.001), 연 명의료 도움경험(p〈0.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도움경험 (p〈0.05), 근무규정이(p〈0.05)이 있다고 응답한 사회복지사 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이 높았으며, 장기요양 입소시 설에서는 교육경험(p〈0.001), 연명의료 도움경험(p〈0.05),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도움경험(p〈0.05)이 있는 사회복지사 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가 노인환자와 가족 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정보를 제공하 기 위하여 관련 교육을 강화하고, 표준 지침서를 개발하여 전문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제언하는 바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문헌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V. 결론 및 제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1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원리형량 : 로버트 알렉시의 원리형량론을 중심으로 / 장희숙 2014  411
    »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
    51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시술의 중단에 관한 법적 연구 / 조민석, 문하영 2014  409
    509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50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 / 천호정 2018  406
    50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506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 김숙남 외 2016  404
    505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2015  403
    50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2013  401
    50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1
    5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400
    501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50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400
    49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49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태도/황병덕, 최령, 박재우 2014  397
    49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2007  397
    49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49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49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90
    49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2014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