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硏究(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759920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Life and the Problems of allowing Death in Medical Ethics Perspective

                                     

  • 저자명

    이재성(Yi, Sae-seong)                                               

  • 학술지명

    哲學硏究(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권호사항

    Vol.120 No.- [2011]                                                        

  • 발행처

    대한철학회                                    

  • 발행처 URL

    http://www.sophi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61-279(19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 KDC

    151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뇌사의 당위성 주장의 배후에는 다분히 '공리주의적'인 목적이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공리주의적 목적에는 한편으로 뇌사를 인정함으로써 의학발달이 ...
  •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뇌사의 당위성 주장의 배후에는 다분히 '공리주의적'인 목적이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공리주의적 목적에는 한편으로 뇌사를 인정함으로써 의학발달이 가져온 생명연장 수단의 사용을 통해 초래되는 가족들의 경제적, 정신적 손실의 감소라는 소극적 의미가, 다른 한편 이식을 위해 살아있는 장기를 구함으로써 다른 생명을 살리는 선한 목적이 의도된 적극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때로는 감정의 과잉으로 인해 독단으로 치닫기까지 하는 '뇌사'에 관한 논쟁을 잠재우기 위해 먼저 뇌사 개념을 정의하기 전에 죽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를 간략하게 짚은 후에(2), 뇌사를 정의하는 데 있어서 그 인간학적 토대가 무엇이며, 인격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그리고 죽음과는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물으면서 뇌사를 기존의 입장과는 다른 관점에서 조명해 볼 것이다(3). 이 과정에서, 특히 뇌사에 관한 정의의 인간학적 토대를 위한 전제조건들과 그것으로부터 발생하는 결과들, 그리고 함축적인 모순점들을 살펴보면서(4), 이 글을 맺을 것이다(5).

  •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문제제기
  • 2. 생명(삶)의 과정으로서의 죽음
  • 3. 인간학, 인격 그리고 죽음
  • 4. 뇌사 정의의 결과들
  • 5. 나가는 말 : 합의로서의 뇌사?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7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6
37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4
370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4
3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36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의 중단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 석희태 2009  252
36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적안녕 및 삶의 질과의 관계 / 박미영 2015  251
36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51
365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하여 / 정재우 2009  250
364 20 죽음과 죽어감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덕과 인 함의:『논어』를 중심으로 / 손보미 2017  248
36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죽음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김명회 2018  248
362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2017  247
36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헌법이론적 논의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2010  247
360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박시내 2011  247
35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신현호 2006  245
35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들의 연명치료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에 미치는 영향 / 최진경 2013  244
357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 동의 후 사망한 환자의 현황과 연명의료 실태 조사: 단일 의료기관 경험 / 윤상은 외 2018  243
356 20 죽음과 죽어감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 요인 / 유민영 2016  242
35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40
3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법제화 방안 / 전수범 2010  240
35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소고 : 미국의 의료보험법을 중심으로 / 한수연, 이홍직 2013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