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연구(Journal of human stud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85734 
식물 상태 환자와 삶의 질
= Patients in Vegetative State and the Quality of Life

                                   

  • 저자명

    홍석영(Hong Suk-young)                                               

  • 학술지명

    인간연구(Journal of human studies)                             

  • 권호사항

    Vol.- No.13 [2007]                                                           

  • 발행처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5-82(1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7년

  •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2005년 테리 시아보 사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식물 상태 환자와 관련된 윤리적 이슈는, ‘환자가 식물 상태로 진단되었을 때, 생명연장 노력을 어디까지 할 것인가?’이며, 특히 그중에...
  • 2005년 테리 시아보 사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식물 상태 환자와 관련된 윤리적 이슈는, ‘환자가 식물 상태로 진단되었을 때, 생명연장 노력을 어디까지 할 것인가?’이며, 특히 그중에서도 ‘영양 및 수분 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가?’이다. 이 문제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은 명확하다. 가톨릭교회는 ‘영양 및 수분의 공급이 쓸모가 없지 않거나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는다면, 그 공급은 의무적으로 행해져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이 기준을 식물 상태 환자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심각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그러한 영양 및 수분 공급이 쓸모가 없으므로 의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영양 및 수분 공급이 쓸모가 없거나 과도한 부담을 준다는 사실을 명백히 보여 줄 수 없다면, 그 공급은 생명 보전의 일반적인 수단이며 따라서 의무라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후자의 입장이 옳다는 점을 보여 주고자 한다. 먼저 식물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의학적 기술(記述)을 소개하고, 다음으로 생명 연장에 대한 가톨릭의 가르침의 전개 과정을 역사적으로 간략히 요약한 후, 끝으로 쓸모없음이 명백히 보여지지 않는 한 식물 상태 환자에 대한 영양 및 수분 공급은 도덕적으로 의무라는 논증을 제시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식물 상태란 무엇인가?
  • 3. 생명 연장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역사적 전개 과정
  • 4. 식물 상태 환자에게 음식을 공급하는 것은 의무이다
  • 5. 결론: 식물 상태 환자의 삶의 질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2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13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의 현황과 과제 / 이이정 2016  572
13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2014  574
12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조문애, 김달숙 2012  574
128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 홍선우, 김신미 2013  579
12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 보호와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김종일 2010  580
12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2
12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주홍덕 1997  582
124 20 죽음과 죽어감 법조계, 의료계, 종교계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수정 2007  590
123 20 죽음과 죽어감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 인지에 관한 탐색 연구/강형구, 윤성민 2015  590
122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12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법제화의 방향 / 주호노 2013  601
120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6
119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8
118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2011  609
117 20 죽음과 죽어감 ‘김할머니’ 사례로 살펴본 가정적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김장한 2016  612
11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김수진 2016  613
11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 유선희 2014  613
11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김명희 2018  614
11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연구 :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최수정 2011  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