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연구(Journal of human stud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85734 
식물 상태 환자와 삶의 질
= Patients in Vegetative State and the Quality of Life

                                   

  • 저자명

    홍석영(Hong Suk-young)                                               

  • 학술지명

    인간연구(Journal of human studies)                             

  • 권호사항

    Vol.- No.13 [2007]                                                           

  • 발행처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5-82(1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7년

  •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2005년 테리 시아보 사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식물 상태 환자와 관련된 윤리적 이슈는, ‘환자가 식물 상태로 진단되었을 때, 생명연장 노력을 어디까지 할 것인가?’이며, 특히 그중에...
  • 2005년 테리 시아보 사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식물 상태 환자와 관련된 윤리적 이슈는, ‘환자가 식물 상태로 진단되었을 때, 생명연장 노력을 어디까지 할 것인가?’이며, 특히 그중에서도 ‘영양 및 수분 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가?’이다. 이 문제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은 명확하다. 가톨릭교회는 ‘영양 및 수분의 공급이 쓸모가 없지 않거나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는다면, 그 공급은 의무적으로 행해져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이 기준을 식물 상태 환자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심각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그러한 영양 및 수분 공급이 쓸모가 없으므로 의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영양 및 수분 공급이 쓸모가 없거나 과도한 부담을 준다는 사실을 명백히 보여 줄 수 없다면, 그 공급은 생명 보전의 일반적인 수단이며 따라서 의무라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후자의 입장이 옳다는 점을 보여 주고자 한다. 먼저 식물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의학적 기술(記述)을 소개하고, 다음으로 생명 연장에 대한 가톨릭의 가르침의 전개 과정을 역사적으로 간략히 요약한 후, 끝으로 쓸모없음이 명백히 보여지지 않는 한 식물 상태 환자에 대한 영양 및 수분 공급은 도덕적으로 의무라는 논증을 제시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식물 상태란 무엇인가?
  • 3. 생명 연장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역사적 전개 과정
  • 4. 식물 상태 환자에게 음식을 공급하는 것은 의무이다
  • 5. 결론: 식물 상태 환자의 삶의 질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3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에 대한 연구 2015  108
131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108
130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08
129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 정의정 2012  108
12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론에 대한 고찰 2006  107
127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126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2018  106
125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에서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사법적, 입법적 논의 / 박영호 2005  106
12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형사법적 검토 / 안성준 2010  105
123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2018  105
12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12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2011  104
» 20 죽음과 죽어감 식물 상태 환자와 삶의 질 / 홍석영 2007  103
119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안영 2018  103
11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기술 거버넌스 / 이준석 2015  103
11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불안과 임종치료 선호도 / 조경희 외 2017  102
11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의 전개과정과 1980-2009년대 호스피스 시설의 공간구성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정미렴 2018  102
115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현정 2017  101
1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대국민 교육프로그램 개발 / 태윤희 2016  100
113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서비스가 말기암 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정현명 200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