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9195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저자

    이금주                                       

  • 형태사항

    ⅶ,156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장성옥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과학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국문 요약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들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및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노인요양시설 실무에서의 활용도, 만족도, 적용성을 검증...
  • 국문 요약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들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및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노인요양시설 실무에서의 활용도, 만족도,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2단계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1단계 연구: 문헌고찰과 국내 연명의료결정법에서 제시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필수 문항 및 6개 국내 노인요양시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 서식을 참고하여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를 개발하고, 2개 노인요양시설 실무자 10인을 대상으로 CODM( 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분석을 통하여 참석 실무자의 합의된 의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을 위한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2단계 연구: 개발된 사전연명의료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1개 노인요양시설에서 1개월 동안 15인의 거주노인과 대리인 15인, 간호사 2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연구: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및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 단계 -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예비 항목 구성은 3개의 영역으로 작성자, 작성내용, 의향서 관리로 실무자 타당도를 거쳐 3개 영역의 15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 실무 가이드라인은 3개영역, 27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가 타당도 1.2차를 거쳐 개발하였다. 2단계 연구: 개발된 사전연명의료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단계 - 개발된 사전연명의료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은 장기요양등급 평가 A 등급 노인요양시설 1개 기관에서 15인의 거주노인과 대리인 15인, 간호사 2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평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개발 전 후 활용 분석을 위해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시행 전후의 수행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시행 전의 작성횟수는 총 15건 중 모두가 대리인들 참여로 수행되었고, 1개월 후의 변경 및 철회의 의사에서는 모두가 의향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거주노인, 대리인, 간호사의 만족도는 총 6문항 3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3점 만점 중 거주노인은 2.67±.41점, 대리인은 2.73±.34점 간호사는 2.83±.23점으로 나타났다. - 실무 가이드라인의 간호사 만족도와 적용성 평가 결과에서 만족도는 총 27개 문항 3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3점 만점 중 평균 2.68±.13점이었고, 적용성 평가는 총 17문항으로 3점 만점 중 평균 2.91±.04점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법 시행을 앞둔 현 시점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에 포함되어 있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거주노인이 활용할 수 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과 실무 가이드라인이 함께 개발되어, 본 연구가 시기적으로 적절한 실무지식을 산출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은 거주노인의 건강상태가 악화되기 전에 개인의 건강문제에 대한 의료 요구의 치료범위를 구체화하여 사전 의사결정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연명의료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과 상담을 통해 거주노인과 가족이 함께 논의하는 의사결정으로 개발되어 실무에서의 활용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 요약 ⅰ
  • 제1장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용어의 정의 5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5
  •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6
  • 3) 실무 가이드라인 6
  • 제2장 본론 7
  • Ⅰ. 문헌고찰 7
  •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의 의미와 배경 7
  • 2.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9
  • Ⅱ. 연구방법 14
  • 1. 연구설계 14
  • 2.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16
  • 3. 연구절차 17
  • A. 1단계: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7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 17
  • 2)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9
  • B. 2단계: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25
  • 1) 설문 조사 25
  • 2) 검증대상 기관 25
  • 제3장 연구 결과 28
  • Ⅰ. 1 단계: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28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 단계 28
  • 1) 국내․외 문헌고찰 28
  •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내용 구성 33
  • 3) 실무자 집단의 내용 타당도 CVI 결과 34
  • 4) 최종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5
  • 2.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단계 38
  • 1) 국내⋅외 문헌고찰 38
  • 2) 전문가 합의 과정(CODM: 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분석 결과 43
  • 3)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안) 76
  • 4) 실무자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결과 81
  • 5)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결과 85
  • 6) 최종 실무 가이드라인 86
  • Ⅱ. 2단계: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93
  •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 전 후 활용 분석 93
  • 1) 거주노인과 대리인의 일반적 특성 96
  • 2) 거주노인의 질병관련 특성 98
  • 2.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거주노인, 대리인, 간호사의 만족도 평가 100
  • 3. 실무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만족도 및 적용성 평가 102
  • Ⅳ. 논의 106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06
  • 2.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108
  • Ⅴ. 결론 및 제언 112
  • 1. 결론 112
  • 2. 제언 116
  • REFERENCES 118
  • 부 록 128
  • ABSTRACT 154
  • 부록목차
  •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28
  • <부록 2> 미국의 주별 POLST 내용 129
  • <부록 3> 국내 노인요양시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양식 비교 132
  • <부록 4>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실무자 내용 타당도 조사지 135
  • <부록 5> 실무 가이드라인의 내용 타당도 조사 137
  • <부록 6> 실무 가이드라인 1,2차 전문가 내용 타당도 조사지 143
  • <부록 7>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만족도 설문지 144
  • <부록 8> 실무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만족도 설문지 146
  • <부록 9> 실무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적용성 설문지 1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12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시범사업 일당정액제 도입이 재원일수 및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중심으로 / 신지연 2013  151
51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임종기치료 선호도 영향요인 – 죽음준비도, 죽음불안을 중심으로 / 김애리 2019  151
510 20 죽음과 죽어감 재발성 혹은 전이성 암 환자에서 의사에 의해 제안된 연명의료계획서(POLST)의 작성률과 환자들의 연명의료에 관한 전반적 태도 연구 2019  151
509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2
508 20 죽음과 죽어감 종합병원 간호사의 연명의료 결정과 관련요인 / 최유남 2016  152
507 20 죽음과 죽어감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장호영 2016  152
506 20 죽음과 죽어감 자연스런 죽음을 맞이할 권리 확보 방안 고찰 :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법률 개정(안) / 이병철 2017  152
50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Advanced Directive /이영규 2017  152
504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503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4
5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판례 분석 / 박송이 2018  154
501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5
50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이은영 2018  155
49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5
49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황연희 2017  156
»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이금주 2017  156
49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2017  157
495 20 죽음과 죽어감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 : 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 오진탁 2006  158
494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강경아 외 2009  159
493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기준과 사상과 양심의 자유 / 유호종 2007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