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49778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 저자명

      황혜정 ,김광환

    • 학술지명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권호사항

      Vol.15 No.8 [2017]

    • 발행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발행처 URL

      http://www.policy.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57-265(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주제어

      연명의료 결정 , 호스피스 완화의료 , 일반인 , 종교 , 임종과정 , Life-prolonging medical care decision , Hospice palliative medical care, Palliative medical care , Public , Religion , Facing death process

    • 판매처

      학술교육원 학술교육원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개념 및 ‘연명의료’ 결정 내용에 대해 일반인들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2016년 9월 일개 지역에서 열린 행사에 참여한 참가자 및 관계자 중 자발적으로 동의한 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종교가 없는 사람들에 비해 자연스런 죽음을 원하고 있었으며, 존엄사와 관련된 결정에서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보인다. 종교가 있는 집단에서 연명치료 중 인공호흡시행에 동의한 대상이 많이 나왔다. 종교는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요소로서 죽음 후 내세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무의미한 삶의 연장에 대해서 보다 단호한 입장을 취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사전연명의료결정법이 일반인들에게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존엄한 삶의 마무리와 죽음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령, 교육정도, 종교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인식 확산을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연명의료 관련 지식을 일반인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며 호스피스에 대한 정부차원의 표준화와 정책적 뒷받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32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
43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430 20 죽음과 죽어감 법률·가이드라인·의료 : 일본의 종말기의료의 현단계 / 마치노 사쿠 2014  320
4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42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20
42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가치와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 김정선 2012  318
42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425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구자완 2015  314
424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를 통해 본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 웰다잉 / 김건 2013  312
42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 가족의 죽음에 대한 태도,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영적안녕과의 관계 / 안옥희 2019  311
4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7
42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5
42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장윤정 2015  304
41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4
418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2018  304
41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 윤은자, 김현정, 전미순, 윤정아 2012  301
41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415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오승은 2017  297
414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의사조력자살 / 허순철 2010  295
41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 판결 이후의 과제 / 박형욱 2012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