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5.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48973 

연명치료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에 대한 연구 = A study about medical futility in decision-making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

    백유승

  • 형태사항

    51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상영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5.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5

  • 주제어

    연명치료의학적 무의미함의료윤리의사 자율성의사의 전문직 충실성


  • 초록 (Abstract)
    • 연명치료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의 정의(定義)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의사에게 환자의 의사(意思)에 반하여 일방적으로 치료를 중지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절차적 정책은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연명치료를 요구하는 환자와 그 치료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의사 사이의 갈등을 의학적 무의미함의 정의화(定義化)와 절차적 정책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는 성공적이라 할 수 없다. 
      일반적 치료와 달리 다른 대안이 없는 연명치료에서 환자의 가치판단은 존중되어야 하며 의료윤리원칙과 의사의 자율성 및 전문직 충실성은 환자의 자기결정권보다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없다. 의학의 목적이 단순히 환자의 신체적 개선에 있지 않고 전체로서의 환자 이익의 증진에 있다면, 의사의 자율성과 전문직의 충실성은 연명치료 거절의 이유가 아니라 환자의 정확한 정보와 합리적 판단을 통한 자기실현에 기여하는 근거가 되어야 한다.
      연명치료결정의 갈등 해결을 위한 환자와 의사의 열린 대화와 지속적인 사회적 토론과 합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중심은 항상 환자의 최선의 이로움을 지향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32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
43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430 20 죽음과 죽어감 법률·가이드라인·의료 : 일본의 종말기의료의 현단계 / 마치노 사쿠 2014  320
4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42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20
42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가치와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 김정선 2012  318
42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425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구자완 2015  314
424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를 통해 본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 웰다잉 / 김건 2013  312
42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 가족의 죽음에 대한 태도,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영적안녕과의 관계 / 안옥희 2019  311
4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7
42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5
42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장윤정 2015  304
41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4
418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2018  304
41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 윤은자, 김현정, 전미순, 윤정아 2012  301
41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415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오승은 2017  297
414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의사조력자살 / 허순철 2010  295
41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 판결 이후의 과제 / 박형욱 2012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