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刑事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441894 

안락사 유형별 규범해석과 사회적 인식도
= A Study on the Legal Analysis and Public Opinion Survey on Euthanasia


  • 저자명

    이인영(Lee In-Young)

  • 학술지명

    刑事法硏究


  • 권호사항

    Vol.20 No.2 [2008]

  • 발행처

    한국형사법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cla.net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7-200(34쪽)

  • 언어

    -

  • 발행년도

    2008년

  • KDC

    364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14

  • 주제어

    안락사 ,존엄사 ,적극적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euthanasia ,passive euthanasia ,active euthanasia ,physician assisted suicide

  • 소장기관

  • 판매처

    교보문고 교보문고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We should discuss the choice of a terminally ill patient to seek medication that he or she could consume to bring about a peaceful and dignified death. Euthanasia means “good death”. The question that what is a good and approval death is indeed the difficult thing to define, and what makes it ethically worthwhile and important to discuss.
      Most of scholars of criminal law did not allow active euthanasia, that is a doctor to take the life of a patient who is suffering from an incurable disease and wants to die. But they allowed passive euthanasia and ‘letting die with dignit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autonomy the patient has a right to refuse a specific medicine even if the treatment is lifesaving. A living will would express the individual"s desires regarding life support should he or she become incapacitated as a result of terminal illness. Another definition of physician assisted suicide provides that is usually involves a patient taking her own life with the help of a doctor. Most of scholars of criminal law don"t approved the legalization of the right to physician-assisted dying.
      But a August 2005 national survey found that 79 percent of Koreans support the idea that when a person has a disease that can not be cured, doctors should be allowed to end the patient"s life. Most people support the general idea of stopping medical treatment in suffering from an incurable disease. Also 71 percent of Koreans support that doctors should end treatment of patient who is suffering the terminal illness if his family request it.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this national survey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e Gallup"s survey and Per Research Center survey on the American Public.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392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7
39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사책임과 입법적 고찰 / 최은희 2006  277
390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강지혜 2019  277
389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6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유형별 규범해석과 사회적 인식도 2008  276
387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김외숙 2019  275
386 20 죽음과 죽어감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의 죽음과 죽음 극복 가능성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안남희 2017  274
38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웰다잉법 / 맹주만 2016  273
38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72
383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선교신학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옥필훈 2016  269
382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7
381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관점에서 본 연명의료에서의 환자의 자기결정권 / 고윤석 2013  262
38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죽음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상하 외 2018  262
379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김원정 2015  259
378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와 비-암환자의 임종기 치료 강도 비교 / 김재민 2015  259
37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임종희 2017  259
37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8
37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 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이용하여 / 김지혜 외 2018  257
374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완화의료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의 인식 / 문이지 외 2019  257
37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