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26056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
= Critics against Active Euthanasia


  • 저자명

    정현미(Chong Hyonmi)

  • 학술지명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 권호사항

    Vol.71 No.- [2007]

  • 발행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발행처 URL

    http://www.kic.re.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23-245(2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7년

  • KDC

    364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9

  • 주제어

    안락사 ,적극적 안락사 ,Euthanasia ,Active Euthanasia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론과 금지론은 우리사회에서도 많은 영역에서 논쟁을 낳고 있다. 형법에서는 적극적 안락사에 대한 금지론이 다소 우세하지만 최근 허용론도 강하게 주장되고 있다. 그라나 적극적 안락사는 소극적 안락사와 달리 직접적 생명침해인 점에서 윤리적ㆍ법적 정당성을 갖기 어렵다. 소위 ‘6가지 안락사 조건’은 적정성, 비례성 및 보충성의 측면에서 볼 때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화조건으로 충분하지 못하다. 엄격한 조건하에 적극적 안락사를 허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생명보호원칙의 와해와 남용의 위험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동의 없는 경우의 적극적 안락사까지 허용하자는 견해나 절차상 보호자의 동의로 정당화시키려는 견해는 극단적 허용론으로서 도태적 안락사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법제를 둔 나라는 네덜란드와 벨기에로 세계적으로도 매우 예외에 속하며, 적극적 안락사의 법적 허용론이 대세는 아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적극적 안락사 허용론이 종래 형법의 통설이었을 정도로 안락사문제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허용적 태도를 많이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급속한 변화와 더불어 심화되는 생명경시풍조를 지양하기 위해서는 안락사의 영역에서도 형법의 생명보호원칙에 입각하여 엄격한 법해석과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적극적 안락사는 환자의 진지한 부탁의 경우에도 인간생명권의 본질적 침해를 가져오며,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은 인간존재의 사회적 기반에 역행한다. 그러므로 적극적 안락사의 자유화 및 법제화나 형법상 위법성조각설은 받아들일 수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3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 / 김경숙 2016  1360
3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6
3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7
29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2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2018  1503
2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7
26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2014  1565
»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 2007  1585
2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48
23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96
2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6
21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 / 김희경 2003  2551
20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 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죽음개념의 변화 / 김경란 2015  2620
1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다혜 2015  2752
1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 허대석 2008  2860
1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161
1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 의사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종원 2007  3285
15 20 죽음과 죽어감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정태호 2016  3780
14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792
13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2009  3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