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56717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The influencing Factors on intention to use case management service for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center



저자

오승은

발행사항

강릉 :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형태사항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근면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2017. 8

발행국

강원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7

주제어

자살시도자,사례관리 서비스,Andersen 모형

소장기관

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242001)

초록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연구목적:  ;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13년간 1위로 우울 및 자살과 관련된 정신건강 문제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자살시도자들의 재시도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짐에 따라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적인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서비스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자료를 Andersen 모형에 적용하여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율을 높이고 자살률 경감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 200931일부터 20151231일까지 Y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2,004명의 자료를 분석한 이자차료 연구이다. ;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살관련 특성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살관련 특성에 따른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나이, 위기-구조 가능도, 자살의도 척도에 따른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차이는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Andersen 모형에 근거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 선행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 요인을 투입한 4단계에서는 건강보험 유형에서 의료급여 등 기타 대상자를 준거집단으로 하였을 때 국민건강보험 대상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가 비동의군에 속할 확률이 4.92(p=.042), 자살의도 척도(Suicidal Intent Scale;SIS)에서는 점수가 1 높아질수록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가 동의군에 속할 확률이 0.92(Β=-.079, p=.012),  과거 자살시도력 유무에서는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를 준거집단으로 하였을 때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가 비동의군에 속할 확률이 1.91(p=.047), 유서에서는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를 준거집단으로 하였을 때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가 비동의군에 속할 확률이 5.84(p=.020)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으로는 건강보험 유형, 자살의도 척도(Suicidal Intent Scale;SIS), 과거 자살시도력, 유서이다.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동의율이 높은 의료급여 등 기타 대상자, 자살의도 척도 점수가 낮은 대상자, 과거 자살시도력이 있거나 유서가 있는 대상자의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반면 동의율이 낮은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자살의도 척도 점수가 높은 대상자, 과거 자살시도력이 없거나 유서가 없는 대상자들의 사례관리 서비스 동의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모색하여 효율적인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적용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92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10
491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11
49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2015  1339
489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20
48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 예방 캠페인이 자살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HBM)을 중심으로 / 이주민 2017  277
487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전미숙 2017  618
48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이경은 2017  386
»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오승은 2017  297
484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2017  67
483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 김지수 2017  65
482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2017  71
48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 김기숙 2016  43
480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박재원 2013  36
47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 발생 현황 분석 / 김혜림 2017  74
47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20
4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2017  77
476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108
475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엄주희 2013  46
47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성 개념의 명료화를 통한트랜스휴머니즘의 비판적 고찰 / 정연재 2015  55
473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존엄의 비교법적 고찰과 그 시사점 / 강승식 2013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