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00799 
외국의 사례에서 본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개념의 생명윤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Studies on the Bioethical Origins of the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from Foreign Case Studies

                                  

  • 저자명

    이준석(Lee June-Seok)                                              

  • 학술지명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17 No.1 [2016]                                                         

  • 발행처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6(1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최근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혁신이론 분야에서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혹은 ‘사회에 책임지는 혁신’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주로 EU와 북미...
  • 최근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혁신이론 분야에서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혹은 ‘사회에 책임지는 혁신’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주로 EU와 북미지역에서 논의되어왔던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개념은, 2013년 이후 한국에서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및 한국연구재단에서 수행되는 프로젝트들의 새로운 키워드중 하나로 포함되면서 최근 한국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부상하고 있다. 본고는 이처럼 국내ㆍ외 기술혁신 및 과학정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개념이 생명윤리 분야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온 여러 전통에 기원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명윤리 분야의 중요한 세 가지 전통을 사례연구로 분석한다. 이들은 첫째, 영국 누필드 생명윤리위원회(NCB)에서 발간한 보고서, 둘째,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에서 정의한 바른 연구 수행(GRP)의 사례, 그리고 셋째,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서 제시하는 책임있는 연구 수행(RCR)의 전통이다. 이 사례연구들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고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생명윤리학적 연원을 고찰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글 : 과학기술학의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논의들
  • 2. 영국 누필드 생명윤리위원회(NCB)와 RRI
  • 3.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의 ‘바른 연구 수행(GRP)’과 RRI
  • 4.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책임있는 연구 수행(RCR)’과 RRI
  • 5. 나가는 글 :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 거버넌스를 위한 고찰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