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법의 신동향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24049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의료형사사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urden of Proof in the Remedy System for Damage from Medical Accident - Focusing on A Medical Criminal Case

 


  • 저자명 하신욱(HA SHIN WOOK)
  • 학술지명 형사법의 신동향
  • 권호사항 Vol.56 No.- [2017]
  • 발행처 대검찰청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73-307(35)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
  • KDC 364
  • 주제어
  • 의료형사사건 ,의료과실 ,인과관계 ,입증책임 ,엄격한 증명 ,병원 감염사건 ,염기서열분석 ,의료피해 구제제도

  • 초록

의료인이 의료행위를 행하면서 당시의 의학지식 또는 의료기술에 기반한 주의의무를 게을리 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환자에게 상해나 사망의 결과가 발생하거나 재산상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우리나라에서 환자나 유족을 구제할수 있는 제도에는 화해계약, 민법상 손해배상청구소송,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약칭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중재제도, 형사고소 등이있다. 이중 민법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은 분쟁을 최종적확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이나 의료인의 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을 환자 측이 지는 부담이 있고,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은 의료 소비자인 환자의 입장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으나 의료사건에 대한전문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형사고소는 수사기관이 범죄혐의 입증에 필요한 증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의료인의 과실을 입증할 자료가 확보될 수 있으나 고소로 인해 당사자의감정이 격화되어 원만한 해결이 어려워질 수 있고,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중재제도는 의료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감정부에서 사실관계와 분쟁 관련 쟁점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의학적인 검토까지 해주는 장점이 있으나 당사자가 조정결정에 동의하지 않으면조정이 성립하지 않는 임의적 조정기구의 한계가 있다.

 

  • 목차

. 서 론

. 의료행위의 의의와 특성

. 의료과실의 정의와 유형

. 우리나라 의료사고 피해자구제제도

1. 개 관

2. 현 황

. 의료민사, 의료형사사건에서의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1.

2. 의료민사사건

3. 의료형사사건

. 의료형사사건에서 과실과 인과관계 입증 사례

1.

2. 사안의 개요

3. 의료과실의 입증

4. 인과관계의 입증

5. 소 결

. 결 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6
23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50
23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8
23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6
23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41
23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5
23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3
23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8
231 9 보건의료 국내 메르스(MERS) 사태가 남긴 과제와 법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소고(小考)/윤종태 2015  427
23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2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배 2017  424
22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22
227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자기결정권 보호 방안 연구 : 사전의료의향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신성식 2014  420
226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15
225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8
224 9 보건의료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김진숙,오수현 2018  407
223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405
222 9 보건의료 결핵예방법의 격리명령의 실행과 한계에 관하여/김장한 2015  405
221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5
220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4
21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2013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