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아동간호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65079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The Experience of Nurses who have cared for pediatric cancer patients at End-of-life

 

  • 저자 이경은 
  • 형태사항 122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이영은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아동간호학 2017. 2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간호사말기암 소아청소년 돌봄현상학

 

 

  • 초록 (Abstract)

소아암은 소아 질병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최근 우리나라에는 매년 1,000명 이상의 소아암 환자가 진단받고 있으며, 그 중 약 30%는 죽음을 맞이한다. 우리나라에서 말기암 소아청소년의 간호는 주로 일반 병동이나 중환자실에서 호스피스 전문간호사가 아닌 일반간호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동의 죽음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은 임종간호에 대한 부담, 의사소통의 어려움, 강한 애착이 형성된 아동의 상실로 인한 고통을 경험한다. 이는 간호사 자신 뿐 아니라 환자의 돌봄의 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의 본질과 의미의 구조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들을 위한 지지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년 이상 말기암 소아청소년 돌봄을 경험한 병동 간호사 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631일부터 동년 720일까지 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심층면담으로 면담횟수는 총 18회로 참여자별 평균 3회였고 추가적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이메일과 휴대폰 메시지를 필요에 따라 주고받았다. 자료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근거로 자료수집과 분석의 순환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그 결과 8개의 구성요소와 20개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도출된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의 8개의 구성요소는 아이와 부모에게 선뜻 다가가지 못함’, ‘심신을 짓누르는 일의 부담으로 이중고에 시달림’, ‘애틋한 또 다른 엄마가 됨’, ‘떨쳐버릴 수 없는 마음의 짐’, ‘가슴이 텅 빈 듯 한 애통함’, ‘죽음을 앞둔 아이의 부모에게 동반자가 되어줌’, ‘다시 힘을 내어 일어남’, ‘참 간호의 의미를 발견하고 자라감이었다. 간호사들은 말기암 소아청소년 돌봄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없이 임상에 투입되어 죽음을 앞두고 있는 아이와 부모를 어떻게 대해야할지 모르는 당혹감과 스스로 자신의 죽음을 알게된 아이를 대하는 막막함을 느꼈다. 간호사들은 죽음에 임박한 상황에서 자신의 마음을 추스를 시간도 없이 과도한 업무에 치여 과부하에 걸렸으며 통증 관리의 어려움과 돌봄의 관점이 다른 의료진과 갈등을 경험했다. 간호사들은 마치 엄마처럼 죽어가는 아이를 돌보았고 준비없는 죽음을 맞이하는 아이들에 대한 연민을 느꼈으며 죽음으로 떠나 가슴에 새겨진 아이들을 잊지 못했다. 간호사들은 자신의 역할과 치료에 대한 한계로 인한 무력감과 아이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 자신의 아이를 잃은 것과 같은 상실의 고통을 경험했다. 간호사들은 힘들게 하는 부모를 견뎌내면서 부모의 힘든 상황에 동반자가 되어주었다. 간호사들은 힘들게 투병하면서도 활력소가 되어주는 아이들을 통해 다시 힘을 얻었고, 소진을 극복하고 아이를 성숙하게 떠나보내기 위해 노력했다. 간호사들은 더욱 최선을 다해서 죽음을 앞둔 아이를 돌보았고 생명과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죽음을 앞둔 아이를 돌보는 간호사로서의 보람과 의미를 찾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를 위한 교육과 지지방안, 관리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국문요약 i

.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 문헌 고찰 4

1. 간호사와 말기암 소아청소년 돌봄 4

2. 방법론적 배경: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11

. 연구방법 15

1. 연구 설계 15

2. 연구 참여자 선정 15

3.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6

4. 자료 분석 18

5. 연구의 타당성 확보 23

6. 연구자의 민감성 확보 27

7. 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29

. 연구결과 31

1. 연구 참여자에 대한 일반적 기술 31

2.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의 구성요소 33

3.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의 일반적 구조 82

. 논의 88

1.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88

2. 간호학적 의의 95

. 결론 및 제언 97

참고 문헌 99

Abstract 104

부 록 107

부록 1.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의 상황적 구조 107

부록 2. 면담 지침서 114

부록 3. 설명문 및 연구 참여 동의서 115

부록 4.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지서 1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168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6
1167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에서 HRPP운영 도입의 한계점과 개선방향 / 이종림 2015  386
1166 9 보건의료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아 2016  386
1165 15 유전학 인간 내성 리트로 바이러스(HERV)와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상관관계 / 옥미선 외 2015  386
1164 12 낙태 낙태 범죄화와 여성 섹슈얼리티 통제 -"낙태죄 합헌결정"(헌법재판소 2 012. 8. 23. 선고 2010헌바402 결정) / 이연우 2015  386
116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 윤영수 2002  387
1162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철홍, 이여길 2000  387
1161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김성은 2016  387
1160 15 유전학 인간 tyrosine hydroxylase 유전자의 조절 기작 / 권정준 2011  387
»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이경은 2017  387
1158 12 낙태 낙태죄의 역사 / 최규진 2018  387
115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조민정 1998  388
1156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윤리의 과학적 접근 및 동물대체시험법 / 임경민 2017  388
1155 5 과학 기술 사회 게놈-지놈 논쟁으로 본 생명과학 용어 연구 : 생명과학 용어 표준화 과정에서 생명과학자의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 김민정 2012  388
1154 18 인체실험 웹 기반의 E-IRB를 활용한 IRB 행정업무 지원시스템 프레임워크 제시 / 황성진, 김한웅, 박범 2013  389
1153 18 인체실험 신약개발과 임상시험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품청의 규제 법령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0  389
1152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바이오 기술을 이용한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 윤채옥 2008  389
1151 5 과학 기술 사회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웨어러블 아트의 발전 가능성 연구 / 김계옥 2017  389
1150 12 낙태 피임과 낙태가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8  389
1149 9 보건의료 독일 의료제도개혁에 관한 소고 / 백승흠 2017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