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31184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in Korea: Magnitude of Its Challenges and Strategy for Alleviation (Ⅰ)


http://www.riss.kr/link?id=A103531184


  • 저자명  :  김동진  ,채수미  ,최지희  ,김창엽  ,김명희  ,박유경  ,손수인  ,김새롬  ,박여리  연구자관계분석
  • 학술지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 권호사항 :  Vol.2016 No.- [2016] 
  • 발행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 1-548(548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6년
  • KDC : 300
  • 주제어 : 건강형평성 제고  ,건강불평등 경험과 인식  ,건강불평등 의제화  ,의료불평등 모니터링 



  • 초록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건강수준의 전반적인 향상을 위해 건강불평등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업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중장기 연구이다. 올해는 1차 연도 연구로서, 2005년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주요 목표로 `건강형평성 제고`가 설정된 이후 아직까지도 건강불평등 문제에 대한 정책 대안이 마련되지 않은 데 대한 원인과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전략 모색의 일환으로 건강불평등에 대한 국민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건강불평등 이슈의 정책의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건강불평등의 주요 발생요인인 의료불평등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의료불평등 문제의 효과적인 모니터링 방안을 도출하였다. 2. 주요 연구 결과 가. 건강불평등 경험과 건강불평등 인식 건강불평등 경험 및 건강불평등 인식과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심층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건강불평등에 대한 심층면접 조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건강문제를 주로 개인의 문제로 인식했다. 즉, 건강을 사회적 성취에 따른 보상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러한 경향을 띤 경우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국가의 역할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불평등 인식수준은 주로 박탈수준이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는 뚜렷하지 않았다. 건강불평등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80.1%가 사회경제적 차이에 따른 건강불평등을 인식하고 있었고, 82.4%는 지역 간 건강불평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가지를 모두 인식하고 있는 사람은 전체의 69.5%로 조사되었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불평등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48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2447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244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적교육 방향 / 김영학 2016  199
2445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보건의료정책 평가 / 백은혜 2017  199
» 4 보건의료 철학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김동진 외 2016  199
2443 9 보건의료 의료관광 서비스접점별 품질평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 김혜영 2018  199
244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2013  199
2441 13 인구 초기 미국 영화로 보는 우생학과 산아제한운동 / 김효정 2018  199
2440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에 관한 고찰 / 이승현 2018  199
2439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2018  199
2438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편혜준 2012  200
243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243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활성화 방안 연구 / 주지은 2016  200
2435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 강승호 2012  200
2434 9 보건의료 신약 접근성 개선 정책이 등재율 및 등재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김은숙 2017  200
2433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2017  200
2432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200
2431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남주 2019  200
2430 1 윤리학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 김병수 2011  201
2429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