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91101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http://www.riss.kr/link?id=A103591101 

 

 

저자명 : 황란희

학술지명: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권호사항 : Vol.15 No.10 [2017]

발행처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발행처 URL : http://www.policy.or.kr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537-549(13)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7

주제어 : 난임 , 여성 , 자아존중감 , 신체상 , 우울 , Infertility , Women , Self-Esteem , Body Image , Depress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 정도와 그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의 영향요 인을 규명하여 우울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29.08±5.17 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연령, 학력, 직업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신체상은 평균 75.66±12.11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은 결혼기간,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10.81±7.84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은 연령, 학력, 가족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은 각각 비용부담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신체상(r=.688, p=.000)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우울은(r=-.710, p=.000)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상은 우울(r=-.526, p=.000) 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아존중감(b=-0.66, p=.000), 시부모와 동거하는 경우(b=-7.92, p=.001), 연령이 41세 이상인 경우(b=-1.72, p=.033)이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2.3 윤리적 고려

2.4 연구도구

2.5 자료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

3.3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 정도

3.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의 차이

3.5 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의 차이

3.6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의 상관관계

3.7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25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5
24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6
23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2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21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5
20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18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4
17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16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9
15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14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3
13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12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2014  310
11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10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4
»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황란희 2017  135
8 14 재생산 기술 난임 치료 중인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미옥 외 2016  57
7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2016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