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석사)-- 서강대학교 대학원 : 신문방송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69818 


자살 예방 캠페인이 자살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HBM)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4569818 


저자 : 이주민

형태사항 : vi, 80 p. ; 26 cm

일반주기 : 지도교수유현재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대학원 : 신문방송학 전공 2017. 8

DDC : 302 23

발행국 : 서울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7

 

초록

 

우리나라의 자살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OECD 자살률이 축소보고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OECD 국가들 중 자살률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심각한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자살예방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자살예방사업은 일회성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효과성 평가 역시 미진한 실태다. 따라서 자살예방사업 중 자살 예방 캠페인이 자살 예방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 대상은 10대에서 60대까지 선정하여 총 28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하게 응하지 않은 3부를 제외하여 총 279부를 분석하여 사용했다. 연구결과 자살 예방 캠페인을 접한 사람일수록 자살 예방 행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자살 예방 캠페인을 많이 접한 사람들일수록 자살 예방 행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살 예방 캠페인을 많이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과 자살 예방 캠페인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많이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은 자살 예방 행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건강신념모델은 자살 예방 캠페인의 접촉량과 완전 매개하여 자살 예방 행동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의 행위단서가 예방 행동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증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788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에 대한 서울지역 안경사들의 인식도 비교 조사 연구 / 강수지 외 2016  155
1787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5
1786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1785 1 윤리학 구조행위자에 대한 지원방안으로서 선한 사마리아인법 / 김병수 2017  155
1784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5
178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5
178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문화적 관점과 장기이식의 윤리 / 이상목 2005  155
178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에 살아남는 법 / 고인석 2016  155
1780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의 발전과정과 법정책적 과제 / 조형원 2007  155
177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55
1778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2008  155
1777 15 유전학 연구논문 :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에 관한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 설치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2  155
1776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5
1775 8 환자 의사 관계 중국의 의료분쟁 조정제도 : 의료분쟁 조정제도 / 조도환 2005  155
1774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이용과 보호에 관한 법규제적 연구 / 김민정 2003  155
1773 9 보건의료 지문인식을 이용한 진료등록시스템에 관한 연구/백종현 이동훈 2018  154
177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판례 분석 / 박송이 2018  154
1771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4
1770 15 유전학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 이연호 외 2017  154
176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