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7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산업경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460059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A Study on Evaluation of Policy Instruments and Solutions for Suicide Prevention : Focusing on Japan and Finland Cases

http://www.riss.kr/link?id=A103460059 

 

저자명 : 김정기(Jung-Ki Kim) ,박상만(Sang-Mahn Park) ,김강훈(Gang-Hoon Kim)

학술지명 : 산업경제연구(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권호사항 : Vol.30 No.4 [2017]

발행처 : 한국산업경제학회

발행처 URL : http://www.kiea.ne.kr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1499-1523(25)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7

주제어

자살예방프로그램 ,정책평가 ,분절회귀분석 ,빅데이터 ,기계학습 ,다학제적 접근 ,suicide prevention program ,policy evaluation,segmental regressionanalysis ,big data ,machine learn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핀란드와 일본의 자살예방프로그램에 대한 경제적 분석 및 정책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살예방프로그램을 강력하게 시행한 국가들은 정책추진사후에 자살증가가 감소하고, 그 변동성이 안정적 상태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과 핀란드의 자살예방프로그램의 정책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때, 평균 연간 자살률이 전년대비 14.2%감소되는 효과가 존재하였다. 셋째, 정부의 자살예방프로그램은 경제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요인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정책수단을 추진할 때, 정책효과의 유효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결과에 나타난 자살예방프로그램시행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살예방프로그램추진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정책추진력이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둘째, 정부차원의 자살예방프로그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관련 영역 즉 경제영역과 사회영역 그리고 문화영역을 포함하는 정책적용범위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자살예방프로그램의 정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자살예방프로그램에 관련된 대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장기적 차원에서 빅 데이터 및 기계학습을 적용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목차

. 서론

. 자살의 원인 및 주요 국가들의 자살예방정책·제도

. 정책추진평가모형 이론고찰 및 분석방법론

. 일본 및 핀란드 자살예방 정책사업 평가결과

.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7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1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5
15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10
»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2017  143
13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09
12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8
11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10 13 인구 저출산 해결을 위한 의사의 역할 / 하정훈 2017  234
9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4
8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5
7 10 성/젠더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조성용 2017  391
6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5
5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5
4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2017  139
3 13 인구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이지영 2019  196
2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2018  196
1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2018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