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94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79124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Analysis of the Natural Scientific Perception of Human Embryo Development in a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on May 27, 2010 : Case no. 2005 heonma 346


http://www.riss.kr/link?id=A102679124 


저자명 : 최진일(Jinil Choi) 

학술지명 : 인간연구(Journal of human studies)

권호사항 :Vol.- No.33 [2017]

발행처 :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205-245(41)

언어: Korean

발행년도 : 2017

주제어 : 인간 배아 ,헌재 2005헌마346 결정 ,개체적 연속성 ,자연과학 ,생명 ,Human Embryo ,2005heonma346 ,Individual Continuity ,Natural Science ,Life

 

초록

헌법재판소 2010. 5. 27.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이하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은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하였다. 이 결정에서 배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하기 위해 제시된 논거에는 여러 가지 의문점이 제기된다. 그 가운데 본 논문은 헌재 2005헌마346 결정에서 배아의 지위와 관련된 자연과학적 인식 수준에 함의된 여러 논의와 관점을 분석한다. 과학적 관점에서 생명의 시작과 개체의 시작은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의 개체적 연속성의 논거는 인간 생명체로서 존재하는 배아에 대한 자연과학적 관점이라기보다는, 배아의 존재를 어떤 특정 목적을 달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대적 가치를 가진 대상적 관점에 더 큰 무게를 둔다. 따라서 헌재 2005헌마346 결정은 인간 배아의 지위에 대한 왜곡된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헌재 2005헌마346 결정

III. 배아 지위에 관한 자연과학적 인식의 문제

IV. 배아 발생에 관한 자연과학적 인식의 준거

V. 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수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

VI. 나가는 말

참고 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74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273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9
272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4
271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9
270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4
269 2 생명윤리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및 법/주호노 2017  318
26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2017  283
266 5 과학 기술 사회 미토콘드리아 대체 기술 적용의 윤리적·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86
26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71
264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4
263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6
262 14 재생산 기술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 김미혜 2017  527
261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1
260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8
259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2
258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2
257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24
256 1 윤리학 몸의 성서신학적 이해/백운철 2016  323
255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