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72790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Estimation of HIV infection and epidemic attributes in Korea, 2015 

  • 저자 : 김민우 
  • 형태사항 : vi, 56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희진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전공 2016.8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6 
  • 주제어 : HIV, AIDS, 감염인구 추계, HIV estimation, epidemics, mode of transmission, UNAIDS

초록

배경 및 목적 : HIV/AIDS 감염자의 수와 경향을 파악하는 것은 감염 인구집단에 대한 보건 정책 및 예방과 치료 활동을 위한 기초적인 역학 자료이나, 질병의 특성상 정확한 감염인의 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국내에 보고된 HIV 감염인의 수는 내국인의 HIV 검사율을 고려할 때 실제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HIV 감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고위험 행태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 성인 인구의 HIV 감염 규모를 추계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최근의 HIV 감염 고위험 행태를 문헌 고찰을 통해 역학적으로 재해석하고, 한국 성인 인구집단(WHO 기준: 15 – 49세)을 대상으로 인구정보와 주요 HIV 감염 위험 요인을 통계 모델에 대입하여 HIV 감염 인구를 추정하였다. 예측 모델은 UNAIDS에서 개발한 MoT(Mode of Transmi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 2015년 국내 성인(15-49세)의 HIV 감염인구 규모는 약 19,485명(10,913-33,180명)으로 추정되었다. 국내 HIV의 전파는 모두 성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며, 주요 전파 경로는 남성 동성간의 성접촉으로 추정된다. 성별로는 남성이 99%를 차지하였다. 남성 동성간의 성접촉시 콘돔 사용률이 14% 증가할 경우 약 25.3%의 감염인구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 : 국내 HIV 감염인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성접촉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보호된 성접촉(콘돔 등)의 비율을 높이고 고위험 행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보건 관점에서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HIV 감염 고위험군을 모니터링하고 치료의 영역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 조사가 필요하며, 고위험 행태와 임상에서의 체계적인 데이터 확보는 현재와 미래 감염에 대한 예방 전략을 위하여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3548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3547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이은영 2001  396
»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3545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의 개발 전략 및 임상화 과정 / 조명수 외 2012  396
3544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김미옥, 김경숙 2015  396
354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3542 2 생명윤리 공공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 :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사례 / 김상현 2012  396
3541 1 윤리학 미국 NASW 윤리강령의 변화과정 및 2018 개정의 함의 / 김성호 2018  395
354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태도/황병덕, 최령, 박재우 2014  395
3539 8 환자 의사 관계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 이한주 2014  395
3538 9 보건의료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신승우 외 2018  394
3537 1 윤리학 기본적 인권 침해방지를 위한 사회복지시설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장인호 2018  394
3536 2 생명윤리 문학교육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 이은민 2014  394
353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3534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시 제거를 위한 연구 / 윤보애 외 2014  392
3533 4 보건의료 철학 성형외과 상담실장의 역할과 그 의료윤리적 함의에 대한 민족지 연구/임소연 2015  392
3532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황나미 2013  392
3531 10 성/젠더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조성용 2017  391
3530 5 과학 기술 사회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권기석 2000  391
352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시대의 법적 과제 / 손영화 2016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