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39695 


건강권의 법적 토대와 그 실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

= Legal Foundation of Right to Health and Issues for Realizing Right to Health 


http://www.riss.kr/link?id=A100539695  


  • 저자명 : 정민수(Jung, Minsoo)  ,김지연(Kim, Ji-Yeon)  ,김수인(Kim, Su-In)   

  •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 :  Vol.22 No.2 [2014] 

  • 발행처 :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05-231(2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건강권  ,책무성  ,비정부기구들  ,재판회부가능성  ,관리적 인권  ,Right to health  ,Accountability  ,Non-profit organizations  ,Justiciability ,Managerial human rights


초록

이 글은 세계인권선언(UDHR)과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ICESCR)을 중심으로 오늘날 건강권이 어떻게 적용되고 실현되며 이에 대한 국제인권법적ㆍ보건학적인 함의는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UDHR은 건강권의 법적인 토대를 놓았고 이러한 권리의 사회적인 실현을 추동해왔다. 각 국가들이 가진 보건의료자원의 정도에 따라서 개인의 권리 실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UDHR과 ICESCR은 국가와 사회 기관이 건강권에 대한 책무성을 가지고 관련 제도를 마련하는데 기여를 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건강이라는 본질적 권리가 한 사회 안에서 법적으로 검토되고 평등과 비차별의 원칙 하에서 그 실현 범위가 확대되는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인권이 한 국가의 실정법 안에서 뿌리내리는데 국제법의 영향력이 미미했던 것처럼 UDHR과 ICESCR 역시 현실에 존재하는 건강권 침해의 구체적 사안들을 해결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건강권을 법률적 권리로 실현하는데 국제기구와 비정부기구들(NPOs)의 역할이 컸다. 특히 전지구적 NPOs는 국제보건의 관점에서 HIV 감염인을 위해 ARV(anti-retrovirus) 치료제에 대한 접근권을 요청하여 각국 정부의 책무성(accountability)을 이끌어냈다. 이들은 정부의 관리적 인권(managerial human rights)의 한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자 노력했으며 재판회부가능성을 높여서 건강권의 법적 실현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므로 오늘날 건강권의 근본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UDHR과 ICESCR 등을 통하여 건강권의 법적 토대를 강화하는 것뿐 아니라 국제보건의 관점에서 다양한 NPOs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된다. 아울러 환자의 자율성 문제와 같이 점증하는 보건의료 분야의 윤리적인 사안들을 검토하여 건강권 실현을 위한 절차화를 고민하는 것도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건강권의 법적 토대

Ⅲ. 공중보건 관점에서 건강권 테제

Ⅳ. 건강권과 여타의 보건관련 권리들

Ⅴ. 건강권 소송

Ⅵ. 환자의 자율성과 남아 있는 문제들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2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3627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3626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6
3625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3624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6
3623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3622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2018  106
3621 1 윤리학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을 위한 방향 탐색 - 윤리교사들의 윤리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 장승희 2017  106
3620 5 과학 기술 사회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채승진 외 2017  106
3619 15 유전학 대규모 유전체연구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 / 조은희 2018  106
3618 15 유전학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최진일 2019  106
3617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3616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6
3615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3614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107
3613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에 대한 논평: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의 범주와 문제점/박형욱 2015  107
3612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36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7
361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 WiseQA를 위한 정답유형 / 허정 2015  107
3609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