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보장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25966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및 향후 개선 과제

= 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Improvement Problems of the Public Guardianship System in Korea- Focused on elderly persons with low income and dementia (living in facilities and at home alone) -


http://www.riss.kr/link?id=A103225966 


  • 저자명 : 송영신(宋永信)

  • 학술지명 : 사회보장법연구

  • 권호사항 : Vol.6 No.1 [2017]

  • 발행처 : 서울대학교 사회보장법연구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11-242(32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공공후견제도 ,저소득 치매노인 ,치매관리법 ,성년후견제도 ,고령사회 ,Public guardianship system ,Elderly persons with low income and dementia,Dementia Management Act ,Adult guardianship system ,Aging society


  • 초록

2017년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바로 목전에 두고 있다.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치매노인의 급증으로 이어지고,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치매관리를 위해 지난 2015.12.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이 수립되었다. 여기에는, 치매환자의 권리 보호 및 학대 방지 등 지원체계로서 ‘저소득·독거 치매환자 대상 공공후견제도’의 도입을 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저소득 치매노인)의 실태 분석과 함께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즉 발달장애인 공공후견지원으로의 집중 현상 및 노정된 문제점을 검토하여 궁극적으로 저소득 치매노인을 위한 공공후견제도의 바람직한 도입과 정착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찾는 데 있다.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대상자를 전제로 약 3만 8천 명 정도로 추산되는 저소득 치매노인은, 인권보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임의적 신체억제대 사용 및 자기방임 등 노인학대의 문제, 의료서비스의 결정 또는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중 사고 발생 시 손해배상책임의 결정과 같은 의사결정과정에서 본인의 의사가 배제되는 문제, 임종기 보살핌 및 사망 시 사후 정리의 문제 등이다. 그런데, 2013.7.1. 성년후견제도가 시행된 이래 공공후견서비스는 발달장애인에만 국한하여 지원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도 각 지방자치단체의 소극적 태도, 공공후견인 활동지원을 포함한 후방지원의 부족, 공공후견제도에 대한 사회적 환경의 미조성, 공공후견인 양성교육의 내실화 확보 등 여러 문제점이 노정되고 있다.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가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그 정책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발달장애인보다 대상자 수에서만 약 3배 이상 많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공공후견제도의 도입은 시급히 요구되는 바이다. 다만, 2017년 보건복지부 민간단체 지원사업으로 ‘저소득 치매독거노인의 인권보호를 위한 공공후견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이 최초로 수행된다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저소득 치매노인을 위한 공공 후견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개선과제를 제안한다. 첫째, 공공후견지원을 위한 적극적인 행정법률의 제·개정이 필요하다. 현행 치매관리법 개정을 통해 저소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공공후견제도의 법적 근거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공공후견 심판청구 절차구조, 후견사무 비용지원, 후견인 활동지원과 감독 등 세부사항을 시행령 등에 명문화해야 한다. 둘째, 피공공후견인의 철저한 인권보호를 위해 고도의 도덕성과 전문성을 겸비한 공공후견인 양성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공공후견제도에 대한 각 지방자치단체의 소극적 태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후견개시 심판청구 지원절차를 간소화하여 공공후견인 추천과정을 일원화해야 한다. 끝으로, 공공후견인의 원활한 후견사무 수행을 위한 후방 활동지원 및 후견인의 권한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감독 시스템을 병행 구축하여야 한다.

  •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저소득 치매노인(시설거주 및 재가독거)의 실태
• Ⅳ.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 Ⅴ. 저소득 치매노인 공공후견제도 활성화를 위한 향후 개선 과제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2 1 윤리학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권미경 2018  566
3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비교 고찰/김찬우,신수경 2018  285
30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2018  421
29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전미숙 2017  617
28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8
»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및 향후 개선 과제 / 송영신 2017  178
2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태도 영향 요인 / 서유리 2017  78
2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 자살생각·우울을 중심으로 / 김은주 , 육성필 2017  322
2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2016  541
2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573
22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21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6
2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김수진 2016  612
1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4
18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2016  914
17 13 인구 제3차 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 - 노인돌봄 / 최혜지 2016  224
16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1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14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5
1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2015  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