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28957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 실태와 임상적 결과

=Infection status and clinical outcome in long term care hospitals patients visiting an emergency medical center


http://www.riss.kr/link?id=T14428957 



• 저자 : 김경완 

• 형태사항 : iv, 77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장숙랑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17.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7

• 주제어 : 감염, 요양병원, 응급의료센터, 사망, 호전퇴원, 재원일수


• 초록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이다.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은 2014년에는 638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12.7%를 차지하고 있으며 2060년에는 1,762만 2천명으로 전체인구의 40.1%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듯 노인인구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요양병원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은 다양한 의료문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C 대학교 U 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후향적 조사연구로 대상자의 감염실태 및 임상적 결과를 파악하여 요양병원 환자사정 및 관리기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은 2014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소재 C대학교 U병원 응급의료센터에 진료의뢰서를 지참하고 방문한 15,194명 중 요양병원에서 내원한 환자 전수인 4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 483명중에 중복감염을 포함하여 197건의 요양병원관련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진단된 감염의 원인균으로 Escherichia coli(23.5%)가 가장 많았고 Extended-spectrum β-lactamase(ESBL) 양성이 63.0%를 차지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 중 감염영향요인으로 작용한 것은 대상자의 입원 시 욕창, 응급실 도착 시 fever, 기저질환 중 악성신생물, 중증도, 유치도뇨관이었다. 요양병원 환자의 임상적 결과(사망, 호전퇴원, 재원일수)를 보면 대상자의 51명(10.6%)이 사망하였고 환자의 특성 중 중심정맥관이 있는 경우, 기저질환으로 악성신생물이 있는 대상자에서 2배 가까이 사망 위험이 높았다. 반면에 대상자 483명 중 322명(70.6%)이 호전퇴원 하였는데 환자의 치료관련 특성 중 수술 하지 않은 환자보다 수술 한 경우, 기관절개관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 건강특성 중 기저질환으로 호흡기계통의 질환이 있는 경우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대상자가 본원에 입원 시 일반병동으로의 입원이 198명(41.1%)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재원일수는 8.9일 이었는데, 대상자의 치료관련 특성 중 수술이나 시술을 시행 한 경우, 유치도뇨관, 기관절개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 건강 특성 중 호흡기계통의 질환, 폐렴, 기타감염이 있는 경우 본원의 재원일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요양병원의 의료관련감염은 요양병원 구성원의 대부분인 노인의 특성 상 면역력 저하와 다중의 기저질환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유병률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제공할 수 있어 의료기관의 철저한 관리와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이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요양병원의 효율적인 환자 관리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요양병원의 간호사는 정기적인 건강사정(assessment)을 통해 중증도 및 환자 안위변화를 면밀히 체크하고, 감염예방을 위하여 감염감시와 감염관리 준수를 위한 손위생 및 삽입기구 관리를 보다 철저히 이행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응급상황 발생 시 정확한 진단 및 처치를 위한 임상전문가를 배치하여 지역사회 및 종합병원과의 협력을 요청할 환자 정보관리시스템도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환자안전 및 감염예방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1. 요양병원 환자특성 6

 2. 장기요양시설의 의료관련감염 7

 3. 노인환자의 응급의료센터 내원 현황 10

 Ⅲ. 연구의 개념 틀 13

 1. 연구 모형 14

 Ⅳ. 연구 방법 15

 1. 연구 설계 15

 2. 연구 대상 15

 3. 연구도구 15

 4. 자료 수집 방법 17

 5. 자료 분석 방법 17

 Ⅴ. 연구결과 19

 1.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의 특성 19

 1) 일반적인 특성 19

 2) 건강 특성 20

 3) 치료관련 특성 23

 2.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 실태 25

 1) 감염 분포 25

 2) 감염별 원인균의 분포 및 항생제 감수성 26

 3) 대상자의 특성이 감염에 미치는 영향 28

 3. 응급의료센터 내원 요양병원 환자의 임상적 결과 30

 1) 본 원 재원일수 30

 2) 대상자의 임상적 결과(사망, 호전퇴원) 31

 3) 대상자의 특성이 임상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32

 Ⅵ. 논 의 39

 1. 요양병원 감염 실태 및 감염위험요인 39

 2. 요양병원 환자의 특성이 임상결과(호전퇴원, 사망,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 46

 3. 연구의 의의 49

 4. 연구의 제한점 50

 Ⅶ. 결론 및 제언 51

 1. 결론 51

 2. 제언 52

 참고문헌 54

 부 록 65

 부록 1: CASE REPORT FORM 65

 부록 2: KONIS 감염환자기록지 70

 국문초록 73

 ABSTRACT 7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8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장보정 외 2018  214
2387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의료 플랫폼 활성화 관점에서 본 개인건강기록(PHR) 관련 최신 연구동향 / 김동현 외 2018  214
2386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2385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
2384 15 유전학 우리나라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 / 권혁찬 2011  214
2383 9 보건의료 국내 의약품 유통 규제 및 주요 법적 문제 / 임혜연 2016  214
2382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인간 유전자의 조작, 현생 인류의 증발 / 이필렬 2001  214
2381 12 낙태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김종세 2010  214
2380 1 윤리학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박세철 2014  214
2379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의 미래/ 박찬국 2018  213
2378 1 윤리학 윤리적 선택과 판단의 기로에 선 인간의 윤리 원칙에 대한 성찰 / 유혜숙 2012  213
2377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13
237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3
2375 7 의료사회학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김소연 2003  213
2374 4 보건의료 철학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강윤지 2019  212
2373 1 윤리학 EU 개인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시사점 / 류승균 2016  212
2372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와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하유리 2016  212
237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2
2370 9 보건의료 "소아청소년 환자 진료에서의 윤리적 고려"에 대한 논평/구영모 2015  212
2369 9 보건의료 한·양방 의료 사이에서 신뢰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에 관한 고찰/박철 2015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