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01392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http://www.riss.kr/link?id=T14401392


• 저자 : 서순정
• 형태사항 : 53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현주, 정선용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의학과 2017. 2
• 발행국 : 경기도
• 출판년 : 2017
• 주제어 :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맞춤의학, 개인 유전정보 서비스, 헬스케어, 유전상담, 설문조사, 유전상담 지침서


  • 초록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는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소인이 함께 관여하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고, 그 결과에 따른 식이 조절, 운동, 생활 습관 개선, 주기적 검진 등의 예방적 차원의 행동변화를 통해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맞춤의료, 개인 유전자 분석 등에 대한 많은 수요자들의 관심사항은 직접 의료전문가들과 만나 적극적으로 자신의 건강 문제를 논의하여 질병 관리 및 예방, 효과적인 약물 치료 등에 검사결과를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이런 수요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검사 결과의 이해를 돕는 것이 유전상담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가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수요자들과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 및 유전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그들의 구체적 요구와 의견 수렴을 통하여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인식도 조사 설문에서 일반 수요자들은 전문가에 비해 약 2배 정도의 낮은 인지도(40.4% 대 79.4%)를 보여 아직까지 전문가들에 비해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인식 정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요자 74.7%에서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본 서비스를 이용해볼 의향이 있음으로 나타나, 일반 수요자들은 질병예방 및 관리를 위한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해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수요자와 전문가 모두에서 매우 높은 수준으로“필요성이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특히, 전문가의 99.4%에서 의료현장에 유전상담 지침서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유전상담에 대한 적절한 프로세스 정립, 체계적인 상담자 자격 관리, 정확한 검사 결과의 분석과 해석, 명확한 검사 한계성 제시 등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 지침서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모두 공감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은 검사 안내 및 해당 결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정보 제공을 통해 질병 예방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통적 방식의 유전학 중심의 유전상담에 더해서 최신의 유전체학까지 모두 포함하는 전문적인 유전상담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체계적이고 유용한 지침서 구축을 위해서는 의사, 간호사, 유전상담사 등의 의료종사자뿐만 아니라 심리학자, 운동전문가, 영양사 등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수렴과 반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 지침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목차
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3
Ⅲ. 결과
A. 수요자 및 전문가 집단의 기본 정보 분석 5
B.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의 인식 및 필요성 조사 8
C.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용성 및 시행 의사 12
D.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인식 및 필요성 조사 17
E.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 21
F. 유전상담 지침서 개발에 있어 전문가의 기타의견 및 조언 24
Ⅳ. 고찰 25
Ⅴ. 결론 34
참고문헌 36
ABSTRACT 40
Supplementary material 1 43
Supplementary material 2 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2888 18 인체실험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 임인애 2008  276
2887 7 의료사회학 의사-제약산업체 상호작용과 이해상충 관리 / 강명신, 고윤석 2012  276
2886 7 의료사회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따른 간호사 윤리강령인식, 윤리강령 적용정도 및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차이 / 정계선 2018  275
»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 서순정 2017  275
288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최준희 외 2017  275
288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유형별 규범해석과 사회적 인식도 2008  275
2882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75
2881 14 재생산 기술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최장섭 2013  275
2880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2016  275
287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2878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5
2877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김외숙 2019  274
287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 예방 캠페인이 자살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HBM)을 중심으로 / 이주민 2017  274
2875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에 관한 형법이론적 고찰 2010  274
287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 김병운 2016  274
2873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287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의사의 탈전문화에 관한 연구 / 박호진 2008  274
2871 20 죽음과 죽어감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의 죽음과 죽음 극복 가능성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안남희 2017  273
2870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사례 및 연구 / 박요셉 2015  273
2869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