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91818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Good Death Recognition, and Self-Esteem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 : 최은정

• 형태사항 :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정혜선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8. 2

• 발행국 : 충청남도

• 출판년 : 2018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간호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학생 204명으로, 자료 수집은 2017년 10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평균점수는 3.01±0.31점이었고, 하위요인별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신생아의 생명권이 3.53±0.4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장기이식 3.35±0.49점, 태아진단 3.32±0.52점, 인간생명공학 3.01±0.62점, 태아의 생명권 2.94±0.61점, 안락사 2.88±0.75, 인공수정 2.82±0.49점, 뇌사 2.48±0.60점, 인공임신중절 2.19±0.59점 순이었다. 좋은 죽음 인식의 평균점수는 3.24±0.38점이었고, 하위요인별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친밀감이 3.41±0.3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임상증상 3.15±0.45점, 통제감 3.08±0.62점 순이었다.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3.23±0.41점이었으며,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는 4점 만점에 2.97±0.29점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좋은 죽음 인식(r=.40, p<.001), 자아존중감(r=.18, p=.009)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고(β=.376, p<.001), 이 변수는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15.1%의 설명력을 보였다(F=13.00, p<.001). 즉, 좋은 죽음 인식이 높을수록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을 위해 좋은 죽음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고, 추후 간호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심도 있는 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의 4

II. 문헌고찰 6

1.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 6

2.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영향요인 8

III. 연구방법 13

1. 연구설계 13

2. 연구대상 13

3. 연구도구 13

4. 자료수집 15

5. 윤리적 고려 15

6. 자료 분석 방법 15

IV. 연구결과 17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2.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정도 19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차이 21

4.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23

5. 대상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V. 논의 27

VI. 결론 및 제언 32

1. 결론 32

2. 제언 34

참고문헌 35

ABSTRACT 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8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337 9 보건의료 일본의 재택의료제도 현황과 시사점 / 남상요 2019  311
336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5
33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6
334 9 보건의료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 심미랑 외 2019  127
333 9 보건의료 지구화된 의료시장에서 연구자와 환자의 정체성 / 한광희 2019  79
332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331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5
33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40
329 9 보건의료 프랑스 의료제도와 진찰료 정책 동향 / 이정찬, 손강주 2019  510
328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5
327 1 윤리학 치매상담센터 종사자의 업무 수행도-필요도 분석 / 어수지 2018  224
326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조충희 2018  455
»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8  673
32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 종사자의 호스피스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조정숙 2018  162
323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신뢰에 기반한 환자-의사 관계 / 오승민, 김평만 2018  211
322 9 보건의료 의료관광 서비스접점별 품질평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 김혜영 2018  199
321 8 환자 의사 관계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 한태일 2018  137
320 9 보건의료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김진숙,오수현 2018  406
319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