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 생사문화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70361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Activation Plans about the system of advance determination of intention on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 : 이창배
• 형태사항 : ⅵ, 154장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우성기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 생사문화학과 2017. 2
• DDC : 393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7
• 주제어 : 연명의료중단, 자기결정권,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http://www.riss.kr/link?id=T14470361 

초록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복지와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은 인류가 추구하는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 말기환자의 존엄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하여 연명의료중단 결정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명의료중단 결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기결정권에 의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올바른 운용방향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국·내외 연명의료중단 결정의 법적 근거, 판례 분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인식현황 그리고 법적·윤리적 근거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의 자료를 검토하여 문제점 및 활성화방안을 찾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민간차원에서 우리사회에 통용되고 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의 경우,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기 전에 다양한 단체들의 편의에 의해 법적 근거에 따른 적법절차를 거치지 않고 비공식적으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제정된 『환자연명의료결정법』에 근거한 표준화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을 만들 필요가 있어 연구를 통하여 제안하였다. 둘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시기의 개선이 필요하다

목차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3
1. 연구 범위 = 3
2. 연구방법 = 4
제2장 연명의료 결정의 의의 = 6
제1절 연명의료 결정의 정의 및 대상 = 6
1. 연명의료 결정의 정의 = 6
2. 연명의료 결정의 대상 = 7
제2절 국내 연명의료결정 제도 = 8
1. 국내 연명의료 결정의 입법 및 제도화 과정 = 8
2.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입법(안) = 16
3.『환자연명의료 결정에 관한』법률 = 21
제3절 국외 연명의료 결정 제도 = 27
1. 미국의 연명의료 결정 제도 = 27
2. 일본의 연명의료결정 제도 = 29
3. 독일의 연명의료결정 제도 = 33
4. 싱가포르의 연명의료 결정 제도 = 36
5. 대만의 연명의료 결정 제도 = 38
제4절 연명의료결정의 법적 근거 = 41
1. 연명의료결정의 헌법적 근거 = 41
2.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적 근거 = 50
3. 연명의료중단의 민법적 근거 = 55
제5절 국·내외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판례 분석 = 58
1. 국내 판례 분석 = 58
2. 미국의 판례분석 = 64
3. 독일의 판례분석 = 69
제3장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의 현황 = 74
제1절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정의 및 필요성 = 74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정의 = 74
2. 연명의료에 있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필요성 = 75
제2절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법적·윤리적 근거 = 77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법적 근거 = 77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윤리적 근거 = 82
제3절 국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 현황 = 93
1. 국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 현황 = 93
2. 국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 현황 = 99
3. 국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인지 현황 = 103
제4절 국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의 현황 = 112
1. 미국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 = 112
2. 오스트리아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 115
3. 싱가포르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 117
4. 대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 118
5. 영국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 120
제4장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 활성화 방안 = 122
제1절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의 활성화 방안 = 122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서식 개선 필요 = 122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시기의 개선 필요 = 128
3.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전문 상담원 교육양성 = 130
4. 사전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인식변화 유도 = 134
제2절 기타 활성화 방안 = 137
1. 연명의료중단 결정을 위한 병원윤리위원회의 활성화 = 137
제5장 결론 및 제언 = 142
참 고 문 헌 = 147
Abstract = 151
활용도 분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발행년 2013 

  • 조회 수 423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발행년 2019 

  • 조회 수 422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2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422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42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발행년 2011 

  • 조회 수 421

13 인구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김미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1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배

발행년 2017 

  • 조회 수 420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420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발행년 2006 

  • 조회 수 420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발행년 2011 

  • 조회 수 420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419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적중 Mouse 제작 기술의 개발 / 전지선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발행년 2009 

  • 조회 수 419

1 윤리학 새로운 치료법 도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 신정원

발행년 2011 

  • 조회 수 41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발행년 2005 

  • 조회 수 419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