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78584 
의사의 설명의무와 형사책임

= Doctors"s Obligation of Explantion and Criminal Liability


• 저자명 : 김혁돈(Kim, Hyeok-Don) 
• 학술지명 : 법학논고
• 권호사항 : Vol.59 No.- [2017]
• 발행처 :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53-178(26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KDC : 360.5
• 주제어 : 설명의무 ,자기결정권 ,과실 ,의료행위 ,전단적 치료행위 ,Obligation of Explantion ,self-determination ,negligence ,medical treatment,arbitrary medical treat

초록

자신의 생명, 신체에 대하여 자신이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고 전제한다면 의료행위에 있어서 의사는 환자에 대하여 설명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그러나 어느 범위에서 어떠한 설명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의료현실에서는 적지 않은 혼란이 있고, 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적 규율도 상당히 허술하다는 문제가 있다. 생명, 신체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측면에서는 물론이거니와 의료계약의 측면에서 환자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위해서도 의사의 설명의무는 당연한 요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의 설명의무가 요구되는 경우는 언제이며, 그 내용은 무엇인지, 나아가 요구되는 설명의무를 위반한 경우 어떠한 형사제재가 가능할 것인가 하는 본질적인 물음에 대해서 이 글은 모든 의료행위는 그 객체가 사람이기 때문에 그 사람의 의사결정을 존중해야 하고 그 의사결정을 보장하기 위하여서는 자신에게 행하여 질 의료행위에 대하여 정확한 정보를 갖고 결정하여야 하므로 모든 의료행위에 있어 사전에 의사의 설명의무가 요구된다고 보았다. 나아가 그 의무위반행위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이러한 설명의무위반행위에 대해서 어떠한 법적 제재를 가할 것인가는 법 정책적인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보았다.
현행 의료법에 의하면 일반적인 의료행위에는 설명의무가 강제되지 않고 중대한 의료행위에만 제한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제재에 있어서도 매우 제한적으로 규정되어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실효적으로 보장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생각건대, 의사의 설명의무는 모든 의료행위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특히 중요한 의료행위에 있어서는 더 엄격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설명의무의 불이행에 대한 제재에 있어서도 생명과 신체에 대한 중대한 결정이 침해된 경우와 그 이외의 경우로 나누어 전자는 전단적 치료죄 등의 형사벌로 제재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행정벌로 강제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면서
Ⅱ. 설명의무의 근거
Ⅲ. 설명의무의 범위와 내용
Ⅳ. 설명의무 위반의 형사법적 효과
Ⅴ.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18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1989  228
117 7 의료사회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 / 이은하 2016  228
116 2 생명윤리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인식 / 심형화 2013  227
115 9 보건의료 미용성형수술의 법적 보호와 입법적 고려에 대한 고찰 / 김기영 2015  227
114 8 환자 의사 관계 비뇨기과의 영역에서 의료책임과 최근동향 / 김기영 외 2016  227
»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와 형사책임 / 김혁돈 2017  224
112 1 윤리학 치매상담센터 종사자의 업무 수행도-필요도 분석 / 어수지 2018  223
111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
110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20
10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108 9 보건의료 응급환자의 법적 정의와 해당성 판단 / 배현아 2009  218
10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7
10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관한 검토/원혜욱,백경희 2017  216
105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 실태와 임상적 결과 / 김경완 2017  215
104 7 의료사회학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김소연 2003  213
103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2
10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심폐소생술금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미연, 문미영 2018  211
10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 박재영 2011  210
100 9 보건의료 사이버의료(Cybermedicine)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 / 남윤삼 외 2015  210
99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신뢰에 기반한 환자-의사 관계 / 오승민, 김평만 2018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