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91123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법제 현황과 시사점

=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Norm and Legal Systems for Genomic Research and Precision Medicine outside Korea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Korean Legal System


• 저자명 : 이서형(LEE Seo-Hyung)
• 학술지명 : 생명윤리
• 권호사항 : Vol.18 No.2 [2017]
• 발행처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77-93(1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주제어:유전체 연구 ,정밀의료 ,개인정보 ,유전정보 ,동의 ,자기결정권 ,Genome Research ,Precision Medicine ,Personal Information ,Genomic Information,Consent ,Right of Self-Determination

초록

정보의 융합과 네트워크의 연계가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진하면서 의료 분야에서도 변화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한 유전정보의 분석에서 나아가, 이제는 건강정보, 생활정보까지의 연계를 통해 개인 맞춤형 의료를 제공하는 정밀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유전체 연구·정밀 의료의 대두에 따라 여러 윤리적·법적·사회적 문제들 역시 함께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정밀의료를 위해 다수로부터 유전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하면서 사생활 보호와 비밀 보장, 정보 보안의 문제, 개인의 자기결정권 행사에 관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사전 동의 모델의 한계가 제기되고 있으며, 상업적 이익의 공유와 같이 기존에는 충분하게 다루지 않았던 문제들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역시 높아지고 있다. 해외 주요국들은 이미 짧지 않은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적절하게 보호하면서 유전체 연구·정밀의료의 발전을 도모하는 법제를 마련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들을 전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유전체 연구·정밀의료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법제의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글은 국내에서 유전체 연구·정밀의료의 발전 방향과 법제의 구축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모색할 수 있도록, 국제규범 및 해외 주요국의 법제 동향에 관해 제시하고자 한다. 국제규범 및 각국의 법제 동향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숙고를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관련 법제가 어떻게 마련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논의를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국제규범으로 세계의사회의 타이페이 선언과, 미국, EU, 일본 등 해외 주요국의 정밀의료와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차에서 3차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 패러다임의 전환은 장기간 지속되어 왔다. 우리나라도 조급하게 생각하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사회 전체적으로 충분한 논의를 통해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분야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법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세계의사회 타이페이 선언
Ⅲ. 미국 45CFR46
Ⅳ. EU GDPR
Ⅴ. 일본 차세대의료기반법
Ⅵ.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48 16 환경 중국 지역 간 건강 수준 차이 원인에 관한 연구 :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와 흑룡강성(黑龍江省) 사례 비교 / 허신, 강민아 2015  328
1447 19 장기 조직 이식 부산시민의 장기기증의사에 관련된 요인 / 황병덕, 임복희, 정웅재 2011  328
1446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8
1445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8
144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 이원, 김소윤, 이미진 2014  329
144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1442 4 보건의료 철학 국내 의료계에서 시행 중인 금전적 인센티브 제도의 윤리적 쟁점들/정유석, 박석건 2015  329
144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1440 18 인체실험 첨단의료보조생식에 근거한 민법 제844조 친생자 추정에 관한 고찰 / 유지홍 2015  329
143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2018  329
1438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1437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1436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기록 신뢰성보장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 우수연구실운영규정(GLP)을 중심으로 - / 염경은 2007  330
1435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143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백수진, 권복규 2007  331
1433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1
1432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31
1431 9 보건의료 병원 공간과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특성 연구 / 허지나, 이수진 2014  331
1430 9 보건의료 생후 90일 이하의 영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과 관련된 위험인자 / 임연주 외 2014  332
1429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