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The Yonsei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66568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베트남 2014년 ‘혼인과 가족법’을 중심으로 ―

= An Overview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Gestational Surrogacy's Legal issues in Vietnamese Law on Marriage and Family


• 저자명 : 이재열 ( Lee Jae Yeol )
• 학술지명 : 法學硏究(The Yonsei law review)
• 권호사항 : Vol.27 No.4 [2017]
• 발행처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53-78(26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등재정보 :KCI등재
• 주제어 :대리모계약 , 인도적 목적의 대리출산 , 베트남 혼인과 가족법 , 체외 수정 , 영리목적의 대리출산 , 대리출산 출생자의 법적 지위 , Surrogacy contract, Altruistic gestational surrogacy , Law on Marriage and Family in Vietnam , In vitro fertilization , Commercial gestational surrogacy, Legal status of child who is born


초록

베트남에서는 2014년 ‘혼인과 가족법’을 통해 체외수정술과 인도적 목적의 대리출산에 관하여 규율하고 있다. 2014년 ‘혼인과 가족법’ 이전에는 모든 대리출산이 금지되었으나, 2014년 ‘혼인과 가족법’은 인도적 대리출산에 한하여 그 유효성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영리적 목적의 대리출산, 영리적 목적의 보조생식술에 의한 출산, 태아성별의 선택, 인간복제는 여전히 금지하고 있다.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그 시행을 위한 정부의정은 보조생식술과 대리출산에 관하여 비교적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특히 인도적 목적의 대리출산의 요건, 대리출산계약, 대리출산 의뢰인과 대리모의 권리와 의무, 대리출산의 효과 등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특히 부부사이에 혼인중의 출생자가 있는 경우에는 대리출산을 의뢰 할 수 없고 대리모는 출산한 경험이 있는 대리출산을 의뢰하는 夫 또는 妻와 일정한 관계에 있는 친척이어야 하며 대리출산은 1회만 가능하고 대리출산계약에 공증이 요구되며 대리모와 대리출산 의뢰인이 대리출산에 대한 사회복지정책상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정자ㆍ난자ㆍ배아 공여자와 보조생식술에 의하여 태어난 출생자 사이에는 부ㆍ모와 자녀의 관계가 발생하지 않고, 독신여성도 정자와 배아를 공여받아 자녀를 출산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아울러 대리출산으로 태어난 출생자는 출생한 시점부터 대리출산 의뢰인 부부의 친생자임을 명시하여 대리출산으로 태어난 자녀의 법적 지위를 입법적으로 해결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에 있어서 부자관계설정에 관한 소고 / 김상헌 2016  64
»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2
2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25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31
24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9
2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2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21
2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4  334
2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1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
18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17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1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15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26
1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34
1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1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고찰 / 민경매 2003  562
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2010  568
1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