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동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66416 


베이비박스의 실태와 대안


= The actual condition and alternatives of baby box

http://www.riss.kr/link?id=A105066416 


• 저자명 : 김형모 ( Hyung Mo Kim )

• 학술지명 : 동광

• 권호사항 : Vol.112 No.- [2017]

• 발행처 : 한국어린이재단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34(3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베이비박스 , 영아 유기 , 생존권 , 출생등록제도 , 비밀출산제도 , Baby box , Infant abandonment , The right to survival , Birth registration system, Secret birth system


초록


위키백과에 의하면, 베이비박스(baby box)는 부득이한 사정으로 아기를 키울수 없는 산모가 작은 철체 상자 안에 아기를 두고 갈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유기되는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서 베이스박스는 2009년 12월 서울 관악구의 한 교회에서 건물 주차장에 아기가 버려져 있는 것을 보고 설치되었고, 2010년 3월 처음으로 아기가 들어 왔으며 2015년 9월 기준 총 806명의 아이가 발견되었다.

OECD 34개 국가 중 가장 낮은 출산율에 비해 베이비박스를 통한 영아유기의 대폭적인 증가는 이중적인 사회병리 현상이면서, 영아의 생존권과 건강권 그리고 생명윤리 측면에서 심각한 사회위기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베이비박스의 존재는 위기에 빠진 영아를 일시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지만, 자녀의 친부모에 대한 알 권리와 친부모로부터 양육될 권리와는 긴장관계에 있다. 특히 베이비박스 이용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미혼모의 기본권 보호와 영아의 생명과 안전의 보호 문제가 조화롭게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아동이 출생 순간부터 병원이나 조산원에서 자동으로 출생신고가 되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아울러 부모가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지원과, 미혼부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를 통해 미혼부모의 출산이 직접 양육으로 연결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 또한 책임질 수 없는 아이를 임신하지 않도록 피임 등 현실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혼자 힘으로 아이를 키우기로 결정한 미혼모에게 질책 보다는 격려를 보낼 수 있도록 사회 인식이 변화가 필요하다. 나아가 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직접 키울 수 있도록 출산 및 육아에 대한 복지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448 2 생명윤리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과제와 개선방향 / 신미이 2017  55
444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화가 실증적 연구결과에 미치는 영향 / 박해지 2017  55
4446 15 유전학 발현 유전자 분석을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 이병욱 외 2015  55
4445 9 보건의료 진료비와 책임제한 / 배병일 2017  55
4444 15 유전학 An Ethical Analysis of the SUPPORT Trial: Addressing Challenges Posed by a Pragmatic Comparative Effectivenes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Austin R.,Weijer 2018  55
444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은주 2012  55
4442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5
444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와 신공공성 / 최상옥 2018  55
4440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연상시키는 기부 캠페인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 김재휘 외 2015  55
4439 9 보건의료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의 의사결정능력 장애인과 의사결정지원 / 말콤 샤이벤스 2018  55
4438 9 보건의료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제 / 김민중 2009  55
4437 9 보건의료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시론 / 박정연 2018  55
4436 15 유전학 Regulatory Issues for Clinical Gene Therapy Trials 2002  56
443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논의와 내용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이동익 2008  56
4434 15 유전학 유전체(Genomics) 연구의 윤리 / 강병수 2007  56
4433 9 보건의료 질환 중심 의료 데이터 융합 모델을 통한 템플릿 기반 의료 정보 제공 기법 / 박예슬 2017  56
4432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56
4431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김장한 2017  56
4430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표준에 관한 연구 : 표준화 분석 및 전망 / 김창수 2008  56
4429 9 보건의료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 김이형 2015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