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5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03653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Spouse and Family Strength


• 저자 : 이미경

• 형태사항 :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안상근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2

• 발행국 : 경상남도

• 출판년 : 2018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한국인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15개 시, 군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28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문화적응스트레스 측정도구는 Sandhu와 Asrabadi(1994)가 개발한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를 이승종(1996)이 한국어로 번안하고, 이무영(2010)이 다문화가정의 한국인 남성배우자에 맞게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는 .83이었다. 가족건강성의 측정도구는 유영주 등(2013)이 개발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Ⅱ를 활용하였으며 Cronbach's α신뢰도 계수는 .95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측정도구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는 .95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조절효과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전체 평균은 2.73점이었으며, 가족건강성의 전체 평균은 3.42점이었고, 사회적지지의 전체 평균은 3.43점이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제수준에 따라 다문화수용, 자문화전달, 차별감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편학력에 따라 다문화수용스트레스, 부인학력과 종교유무에 따라 차별감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건강성은 경제수준, 부인학력, 결혼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가족건강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하위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각각 28.4%와 36.8%이었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사회적지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각각 66.9%와 68.0%이었다. 여섯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변수인 사회적지지는 직접적으로 가족건강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므로 유사조절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요인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차별감스트레스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결혼이주여성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남편들도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가족 복지적 차원에서 다문화가정의 부부갈등, 가족갈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족상담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결혼이주여성 배우자를 위한 사회적지지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목차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연구모형 6

Ⅱ. 이론적 배경 7

1.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개념과 특성 7

2.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개념과 영향 9

3. 가족건강성의 개념과 특성 11

4. 사회적지지의 개념과 효과 14

5. 선행연구 고찰 17

1)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17

2) 사회적지지와 가족건강성 20

3)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와 가족건강성의 관계 22

Ⅲ. 연구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측정도구 25

1)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 25

2) 가족건강성 척도 26

3) 사회적지지 척도 27

3. 자료분석 28

Ⅳ. 연구결과 30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0

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32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34

4.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41

5.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43

Ⅴ. 결론 53

1. 요약 53

2. 제언 60

참고문헌 63

부록 73

영문초록 8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5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6
34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33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32 1 윤리학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김수정 2017  147
31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30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80
29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7
2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3
2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4
»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60
25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2018  266
24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4
2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5
22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 이현정 2012  371
21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9
2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8
19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3
18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
17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1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