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 상담및임상심리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59320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o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Determinat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 저자 : 박기남
  • 형태사항 : 113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박원주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 상담및임상심리전공 상담및임상심리 2018.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긍정심리, 마이스터, 자기결정성, 정서안정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특수목적 고등학교인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과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소재의 P공업 고등학교 1학년(실험집단 81명, 통제집단 59명)140명이다. 프로그램은 2017년 4월부터 6월까지 주1회, 총8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서안정과 자기결정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은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통제집단은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집단 내 프로그램 효과 지속성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집단과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분석을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정서안정과 자기결정성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의 경우 자기결정성은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정서안정은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연구에서의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학교 특성상 스트레스와 학교 적응에 어려움이 많은 학생들에게 자기결정성을 향상하여 내적동기를 높였다. 둘째, 긍정심리 집단상담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며 같이 고민하고 원활한 대인관계를 맺으며 더 나아가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셋째,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개입을 함으로써 심리적, 정서적인 접근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선행연구에서는 학급단위의 소규모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대규모 학급 단위로 적용하여 검증하였으므로 사회적 지지인 교육 환경 조성에 기여 하였다. 다섯째, 긍정심리 집단상담의 궁극적인 목표는 긍정, 행복, 감사 등을 활용해 실제로 체험하고 증진하는 활동을 통해 ‘행복한 삶’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이 정서안정과 자기결정성에 국한되지 않고 우울이나 학교폭력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부적응 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01
II. 이론적 배경 04
1. 마이스터 고등학교 04
2. 긍정심리학 09
3. 정서안정 17
4. 자기결정성 21
5. 연구 문제 27
III. 연구 방법 28
1. 연구 대상 28
2. 실험 설계 29
3. 측정 도구 30
4. 연구 절차 32
5. 자료 분석 37
IV. 연구 결과 38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결과 38
2.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추후 측정치 차이 비교 38
3.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측정치 차이 비교 40
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 비교 42
V. 논의 45
참고문헌 53
부록 61
Abstract 1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248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8
3247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28
3246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2018  128
3245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2019  128
3244 9 보건의료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 경험에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가은, 박현준 2019  128
3243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3242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3241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3240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3239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3238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3237 20 죽음과 죽어감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 김희경 2018  129
323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3235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9
3234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9
323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3232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3231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
323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30
3229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2016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