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 임상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98434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Advanced Practice Nurse in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 저자 : 조분선
  • 형태사항 :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신 용 순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 임상간호학과 정신보건간호전공 2018.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8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변화하는 정신보건환경에서 정신전문간호사의 업무 법제화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DACUM 직무분석 기법으로 직무를 정의하고, 임무, 작업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하여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정신전문간호사 63명을 대상으로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개발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DACUM 기법으로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정신전문간호사 직무를 정의하고, 8개 임무와 46개 작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임무에 대한 작업별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정신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임무와 작업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하고, 수행작업표를 작성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4월 18일부터 8월 2일까지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 정의는 「정신건강관리가 필요한 개인․가족․집단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상담․검사․교육을 실시하고, 임상적 전문성과 심리검사 및 뇌기능 검사 등의 각종 진단검사 자료의 통합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신간호진단을 내려, 스트레스 완화 및 관리, 약물치료와 심리치료 등의 치료적 활동과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및 권리옹호 등의 포괄적인 사례관리서비스를 지원함에 있어서, 근거기반의 숙련된 정신전문 간호행위를 수행하는 자」로 정의 되었다. 직무내용은 8개 임무와 46개 작업으로 분류되었고, 임무는 ‘대상자 개입’, ‘치료적 중재’, ‘응급상황 중재’, ‘교육 및 상담’, ‘환경과 자원관리’, ‘전문직 발전 참여’, ‘자문 및 협동’, ‘연구’로 규명되었다. 가장 중요도가 높은 임무는 ‘전문직 발전 참여’, 가장 난이도가 높은 임무는 ‘연구’, 가장 수행빈도가 높은 임무는 ‘대상자 개입’으로 나타났다. 결정계수가 가장 높은 임무는 ‘전문직 발전 참여’, 결정계수가 가장 높은 작업은 ‘실무표준 개발하기’로 상대적으로 중요한 임무와 작업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정신전문간호사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정립을 위한 토대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임상적 전문성과 근거기반의 숙련된 간호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를 개발하고, 관련의료분야로부터 인정받고, 업무 법제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정신전문간호사, DACUM 직무분석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1. 국내 정신전문간호사 제도 6
2.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와 역할 8
3. DACUM 기법을 이용한 직무분석 12
Ⅲ. 연구방법 15
1. 연구설계 15
2. 연구방법 및 절차 15
1) 1단계 : DACUM 직무분석을 통한 임무와 작업내용 도출 16
2) 2단계: 직무분석결과에 대한 타당성 검증 18
3) 3단계: 직무내용(임무와 작업)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조사 19
4) 4단계: 정신전문간호사의 수행작업표(DACUM chart) 작성 22
3. 연구의 윤리적 고려 22
Ⅳ. 연구결과 23
1.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내용 도출 23
2. 직무분석 결과에 대한 타당성 검증 25
3.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와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28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8
2)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30
3) 정신전문간호사의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31
4.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와 작업별 결정계수 35
1)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별 결정계수 35
2) 정신전문간호사의 작업별 결정계수 36
5. 근무환경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차이 40
1) 임무별 중요도 차이 40
2) 임무별 난이도 차이 41
3) 임무별 수행빈도 차이 42
6. 정신전문간호사의 수행작업표(DACUM chart) 43
Ⅴ. 논의 49
1.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정의 49
2.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50
3. 정신전문간호사의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54
4. 직무분석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논의 56
Ⅵ. 결론 및 제언 59
REFERENCE 62
ABSTRACT 67
부 록
설문지 70
연구윤리서약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528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2016  50
4527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2013  50
4526 9 보건의료 의약품 특허의 강제실시청구에 관한 심사기준 고찰 -인간기능이론을 중심으로 / 민창식 2012  50
4525 19 장기 조직 이식 웹기반 조혈모세포이식 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정문주,김동희 2013  50
4524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 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 김나경 2009  50
4523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4522 2 생명윤리 인간생명의 보호가 법정책의 기반이어야 / 정재우 2018  50
4521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기관 유형에 따른 입원환자의 경험에 대한 고찰 / 정현철 외 2018  50
4520 15 유전학 과학적 부성(paternity) 도입을 통한 친자법의 개혁 / 오병철 2018  50
4519 9 보건의료 인터넷 환경에서의 의료광고 규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황성기 2016  51
451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1
4517 2 생명윤리 인생의 시작과 전인적 이해 / 정재우 2017  51
4516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과 ‘성공적 노화’ 그리고 ‘잘 죽기’ / 김명숙 2014  51
451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죽음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서영준 2017  51
451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광현 2012  51
4513 2 생명윤리 문선명선생의 사상으로 본 생명윤리 연구 / 강명호 2017  51
4512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불안, 호스피스 지식과 임종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경아 외 2016  51
451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2014  51
4510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4509 9 보건의료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영희 2013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