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아동가정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22147 


위기가족 유형들의 생태체계 분석-위기상담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cological System of the Type of Family in Crisis-Focusd on Cases of Crisis Counseling


  • 저자 : 장정문
  • 형태사항 : 95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정민자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아동가정복지학과 2018.2
  • 발행국 : 울산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위기가족, 상담사례, 생태체계


국 문 초 록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가족 문제가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가족 역경을 지원하는 위기가족 지원사업이 건강가정 정책에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가족의 상담사례 분석을 통하여, 위기가족의 유형에 따라 위기의 원인과 생태체계의 취약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어떻게 위기가족 체계의 개입과 지원을 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를 ‘위기상담사례에 나타난 위기가족 유형에 따른 생태체계는 어떠한가?’로 설정하고, 2015년 3월부터 2017년 8월까지 U시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긴급위기가족지원사업의 대상자 총 211 사례 중 연구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90 사례를 선별하여 6개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따라 15 사례씩을 배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의 경우 가족 내의 건강하지 못한 문제해결 방식과 의사소통 방식 등 미시체계의 취약성이 위기의 원인이며,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으로 나나났다. 이에 전문적인 가족체계론적 상담과 건강한 자녀 양육 기술 및 가족원의 의사소통, 가족문제 해결을 향상할 수 있는 가족교육프로그램 등의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성폭력의 경우 가정의 자녀 돌봄 공백이나 부부친밀감 부재 등 미시체계의 취약성이 위기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사건 후 가해자에 대한 고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차적인 심리 피해, 치료과정에서 발생하는 외상의 재경험을 심화시킬 수 있는 외체계의 취약성은 성폭력을 경험하는 가정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는 체계로 작동할 수 있다. 이에 성폭력 외상전문 치료 상담가, 피해자 지원기관, 피해자들에 대한 의료 개입을 위한 전문적인 인적 자원과 개입 기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인 측면에서 사회 구성원의 생애주기 발달에 맞는 전인적인 성교육 역시 성폭력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이라 하겠다. 셋째, 학교폭력의 경우 전 체계가 위기에 관여하며, 위기를 심화시킨다. 생활 전반에 걸친 부모의 건강한 모델링 부재, 취약한 가족 형태로 인한 돌봄의 공백 등 미시체계의 취약성은 위기의 원인이 되며, 건강하지 못한 미시체계들 간의 관계는 중간체계의 원활한 상호작용 역시 어렵게 만들어 위기의 원인이 됨과 동시에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문제 해결에 대한 참여가 비자발적인 청소년의 특성은 외체계의 개입을 어렵게 하여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학교 부적응, 학교 폭력과 관련된 청소년을 바라보는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 역시 학교폭력의 위기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교폭력의 경우 미시체계부터 거시체계까지 전 체계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과 상담이 필수적이며, 전문적인 가족 상담과 교육, 지역 사회 내의 유관 기관과의 네트워킹과 자문 등의 다양한 수준의 대책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자살의 경우 개인적인 우울 성향, 건강하지 못한 가족관계와 가족형태 등 취약한 미시체계가 위기의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살 가족원의 영향으로 인한 유가족의 모방 자살이나 수치감과 죄책감 등 부정적인 정서를 가지게 된다. 또한 가족원 스스로 외부와의 단절을 시도하기 때문에 위기 지원에 어려움이 있어 건강한 중간체계의 역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기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살은 개인뿐 아니라 가족 전체의 문제로 인식해야 하며 전문적인 가족 상담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제2의 자살 위험의 대처방안으로 사고 직후 조기 개입 서비스가 신속히 실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이혼의 경우 부부 각각의 건강하지 못한 미시체계의 영향이 가족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위기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직장과 이웃과의 관계, 자녀의 학교생활 역시 원만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혼 과정 중 자녀양육에 대한 교육, 면접교섭, 양육비 이행, 재산 분할 등 법률적 절차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와 교육 등 외체계의 취약성과 한부모가정⋅이혼 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시각 등 거시체계의 취약성은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적인 수용과 편견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며, 미시체계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가족적인 접근과 거시체계, 외체계의 동시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즉 이혼에 대한 전문적인 가족관계 상담 및 법률지원을 위한 상담이 요청된다. 여섯째, 재난/기타의 경우 외부 재난사태는 특별한 체계의 취약성으로 위기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내부적인 요인 즉 가족 관계에서 발생하는 재난의 경우 자녀 양육에서 오는 심리적인 어려움 등이 미시체계 취약성으로 작동하여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재난 이후 경제적인 지원과 법률적인 지원, 치료의 개입 등 원활하지 못한 외체계의 경우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사건 후 신속하며 실질적인 경제 지원, 응급 외상치료, 소송 등 법률적인 지원이 가능한 응급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의 예상하지 못한 위기상황은 개인적인 문제에 그치지 않고 가족원과 사회 전체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위기유형별로 취약성을 보이는 체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위기가정이 가지는 체계적 특성을 파악하여 위기유형별 가정에 적절한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며, 위기가족에 대한 개입과 지원은 전 생태체계 내에서 유기적인 상호작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 주제어 : 위기가족, 상담사례, 생태체계


목차

목 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위기가족 4

1) 위기가족의 개념 4

2) 위기가족의 유형 4

3) 긴급위기가족 지원사업 5

2. 유형별 위기가족의 특성 6

1) 가정폭력 6

2) 성폭력 8

3) 학교폭력 10

4) 자살 11

5) 이혼 전⋅이혼 후 12

6) 재난/기타 13

3. 생태체계 이론 15

1) 개념 15

2) 위기가족 유형과 생태체계 16

Ⅲ. 연구방법 19

1. 연구 대상 19

1) 연구 대상자의 선정 19

2) 위기유형별 연구 대상자의 특성 19

(1) 가정폭력 경험 가정 20

(2) 성폭력 경험 가정 21

(3) 학교폭력 경험 가정 21

(4) 자살 가족원이 있는 가정 22

(5) 이혼 전⋅이혼 후 가정 23

(6) 재난/기타 경험 가정 24

2. 연구 절차 24

1) 연구 절차 24

2) 분석 방법 25

Ⅳ. 연구 결과 27

1. 가정폭력 경험 가정의 생태체계 27

2. 성폭력 경험 가정의 생태체계 34

3. 학교폭력 경험 가정의 생태체계 40

4. 자살 가족원이 있는 가정의 생태체계 46

5. 이혼 전⋅이혼 후 가정의 생태체계 52

6. 재난/기타 경험 가정의 생태체계 58

Ⅴ. 논의 및 결론 64

1. 논의 및 결론 64

2. 제언 68

ABSTRACT 69

참고문헌 72

부록 7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8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287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28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285 9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기반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시스템의 설계 / 김지언 2017  59
284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283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282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281 9 보건의료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이동현 외 2018  58
280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와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분석 / 김선제 외 2017  58
279 23 연구윤리 줄기세포 연구자의 연구 윤리 일반에 관한 인식 및 절차 / 최은경 외 2008  58
278 9 보건의료 정밀의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정보 보호모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배상호 외 2016  58
277 4 보건의료 철학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 최선욱 외 2018  58
276 14 재생산 기술 인간의 탄생성과 출산행위 / 공병혜 2017  58
275 19 장기 조직 이식 근래의 신장이식 임상성적과 관련인자들: 단일기관 연구 / 안재성 외 2017  58
274 9 보건의료 제네릭의 약품의 생물학적동등성 인정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의경 2004  58
273 22 동물복지 동물의약품 기업의 입지특성 분석 / 안성조 2017  58
27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남현 2017  58
271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 구현을 위한 문제 중심의 시계열 EHR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김종호 2017  58
270 18 인체실험 The Paradoxical Problem with Multiple-IRB Review 2010  58
269 9 보건의료 소아환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서비스 연구 / 양준모 채옥삼 2018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