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279849 

출산억제정책으로서 모자보건법과 낙태에 대한 반성적 접근


= Symposium : The Reconsideration o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and the Abortion for the Control Policy on Delivery


  • 저자[authors] : 김성진 ( Sung Jin Ki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법과 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10No.1[2010]
  • 발행처[publisher] : 한국법정책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63-82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0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360.05
  • 주제어[descriptor] : 낙태,태아,생명권,자기결정권,모자보건법,Abortion,Fetus,Right to Life,Pro-Life,Right of self-decision,Pro-choice,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초록[abstracts]

[There is the strong forbidden clause of criminal law about abortion. But in reality, a lot of illegal abortion are performed despite of the permissible clause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he law lead to be inconsistent with its enforcemen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proposals about the analysis of the Abortion Regulation to reform the existing regulation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s.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prescribes the medical, ethical, and genetic grounds for the legal permission of abortion. But the right of life is an essential part of human dignity, and the life of fetus is virtually all in the fetus` dignity. Therefore the abortion must to be permissible in more strict condition. And the permissible period of abortion must be shortened from gestation 24 weeks to gestation 12 weeks. It is necessary to be revised of the penalty provision against illegal abortion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life and preventing the illegal abortion. In conclusion, I basically oppose to abortion for human dignity, except special cases. Therefore the abortion may be morally permissible for the case of a woman`life is threatened by pregnancy and unavoidable abortion after rape, because nobody is morally required to sacrifice her life to keep another person 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68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2014  515
767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766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5
76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76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6
76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
762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 한진아 2007  516
761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760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7
759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2013  517
758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7
75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756 14 재생산 기술 인간 사배수체 핵 이식 배아 줄기세포의 특성 규명 / 신동혁 2018  517
755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2019  517
75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8
753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2010  518
752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황 및 전망 / 한재권 2016  518
751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와 여성의 재생산권 / 조영미 2004  519
750 1 윤리학 일조권에 관한 법적 검토 / 이재삼 외 2016  519
749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2003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