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71795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저자[authors] : 김선화
  • 발행사항 : 서울 :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 형태사항[Description] : vii, 109 p. ; 26cm
  • 일반주기명[Note] : 지도교수 :우재명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200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08
  • 소장기관[Holding] : 서강대학교 도서관  (211029)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낙태에 대한 논쟁 가운데, 태아의 생명권에 대하여 가톨릭 윤리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모자보건법에서 낙태를 할 수 있는 합법적인 길을 열어놓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낙태를 용인하는 사회적 분위기속에서, 수많은 낙태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만연한 낙태 행위의 근저에는, 태아에게 인간으로서의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지 않는 관점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본래의 도덕적 가치를 지닌 존재로서, 그 형태나 기능에 따라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태아는 수태되는 순간부터 인간으로 존중받아야만 한다.   한편 여성 신체에 대한 결정권이 태아의 생명권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주장하던 기존의 여성주의적 입장에 반해, 여성의 권익 향상과 태아 보호는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견해가 생명옹호론적 여성주의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이들은 어머니와 태아는 공동 운명체로서, 여성의 존엄성 회복은 태아 보호와 함께 할 때 비로소 가능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또한 이때 사회와 남성들의 지원과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교는 일관되게 태아를 보호하는 편에 서 왔다. 태아 생명 보호에 대한 이러한 입장은, 생명은 하느님의 선물이며, 생명의 주인은 하느님이라는 그리스도교 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성서와 그리스도교 전통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은 생명의 창조주인 하느님으로부터 나온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인간은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기 때문에, 인간 생명은 절대로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모든 인간은 이러한 인간생명에 대한 불가침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당연히 태중의 인간존재인 태아에게도 해당된다. 성서는 태아가 하느님께서 모성애 가득한 눈길로 바라보고 계시는 인격적 섭리의 대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하느님으로 인해 불가침의 존엄함을 지닌 인간 생명은 수정되는 순간부터 존중되어야 하며, 따라서 태아의 생명권은 절대로 보호받아야만 한다.


초록[abstracts]

This thesis addresses the right of unborn children to life related to abortion based on Catholic moral theology.   In Korea,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has provided a legal way for women to have abortions, and numerous abortions have been performed, with little social backlash. The prevalence of abortion is due to a system of ethics that does not endow unborn children with moral stature as a persons. However, unborn children should be regarded as persons from the time of conception. Human beings have intrinsic moral value, and personhood cannot be evaluated based on physical form or function.   Contrary to the feminist perspective asserting that a woman''s right to control her body supersedes the right of the unborn child to life, pro-life feminists suggest that women’s rights and interests and the protection of  unborn children are not in conflict. They emphasize that the mother and unborn child are a body sharing a common destiny and that female dignity can be recovered only if it is joined with the protection of the unborn child. They also believe that the support and cooperation of men and society at large are essential.   Christianity has firmly supported protection of unborn children. This position is based on the Christian idea that life is a gift from God, and ownership of life belongs to God.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 state that the dignity of human life derives from God, the Creator of life. Christians believe that human life should never be threatened, because humans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Every human being has an inviolable right to life, and this right applies to unborn children, which are human beings even during the prenatal period. The Bible demonstrates that unborn children are the personal objects of providence from God, who looks upon them with maternal affection. Likewise, God has endowed human life with inviolable dignity. This dignity should be recognized and respected from the moment of conception. Accordingly, the right of unborn children to life must be protect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90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
3907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2019  515
390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3905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5
3904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390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5
3902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2014  515
3901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5
390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3899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 12 낙태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김선화 2008  513
3897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3
3896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3895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3894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3893 5 과학 기술 사회 [브레인 영화관_엑스 마키나(Ex Machina)] 2045년, AI(인공지능)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다/강만금 2015  512
3892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3891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2
3890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임상에 있어서 줄기세포 치료제 활용 / 고예린, 윤화영, 채준석 2012  512
3889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