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가족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25291 

대리모를 둘러싼 쟁점과 해결방안 - 입법론을 중심으로 -


= Some Legal Issues and Solutions Around Surrogate Motherhood


  • 저자[authors] : 현소혜(Hyun, Sohy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가족법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32No.1[2018]

  • 발행처[publisher] : 한국가족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07-148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360

  • 주제어[descriptor] : 대리모,의뢰부모,출산기준설,유전자기준설,의도기준설 Surrogacy,surrogate mother,surrogate contract,genetic mother,intended parents


초록[abstrac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legislation about surrogacy according to the cultural background, family law tradition and reality of each country, especially about whether to allow a surrogate contract, if so, under what conditions and who is to be considered as legal parents of the child born from the surrogate mother. However there is no statute nor precedent handling the surrogate motherhood issues in South Korea, though a lot of previous studies has dealt with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prior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research results of foreign legislation, to propose a bill draft on surrogate motherhood for not only solving the situation of interest-conflicts between surrogate mother and genetic mother but stabilizing the legal status of the child born from the surrogate mother.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the effect of gestational surrogate motherhood contract should be recognized under some strict conditions on the qualification of surrogate mother and infertility of intent parents, etc.; (2) the surrogate mother who has given birth has the status of legal mother by priority; (3) one of parties to the contract can file a complaint for granting the status of legal mother to the genetic mother; (4) the surrogate mother may withdraw the surrogate contract within a certain period after the birth, in which case judges cannot decide the genetic mother as a legal mother.]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Ⅱ. 기존의 논의 Ⅲ. 외국의 태도 Ⅳ. 쟁점과 해결방안 Ⅴ.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928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2
2927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2
2926 1 윤리학 연구논문 :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 과정을 중심으로- / 박선영 2016  282
2925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ABS) 시행 이후 중국 관련법제 및 향후 정책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강문경, 배정생 2014  282
29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2
292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 강희정 2016  281
2922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형 맞춤 의료 대책 방안 연구 : 감염병 중심으로 / 허준구 2016  281
2921 9 보건의료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강선경 2015  281
292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거부반응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의 CAR Treg 세포치료제의 가능성: Treg 세포치료제 임상시험 현황과 CAR T 세포치료제 허가 정보를 바탕으로 / 강고은 외 2017  281
2919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2918 22 동물복지 동물보호법개정논의에 즈음한 비교법적 고찰 / 김수진 2006  280
2917 1 윤리학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양종모 2017  280
291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전문 평가·인증기관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 적합성 평가기관을 중심으로 / 유진호 2017  280
2915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보윤리적 의미와 쟁점 / 임상수 2016  280
2914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0
2913 9 보건의료 지카바이러스의 역사와 중남미 발생 상황의 이해 / 이재갑 2016  280
2912 14 재생산 기술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곽은희 2014  279
2911 9 보건의료 한국 공공의료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박금령 2016  279
2910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9
2909 22 동물복지 조현병 신약개발에 사용되는 동물 실험에 대한 임상의의 고찰 / 염선영 2014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