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33116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 The Ethics of Robots and Humans in the Post-Human Age

  • 저자[authors] : 유은순(Eun-Soon You),조미라(Mi-Ra Ch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18No.3[2018]

  • 발행처[publisher] :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592-600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8

  • 주제어[descriptor] : 로봇윤리,포스트휴먼,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윤리 소프트웨어,인공적 도덕 행위자,Robot Ethics,Post-human,Issac Asimov’s three laws of Robotics,Software Engineering Ethics,Artificial Moral Agent


초록[abstracts] 
[로봇의 영역이 인간의 정신적, 감정적 노동까지 대신하는 지능형 로봇으로 진화하면서 인간과 로봇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봇윤리’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필요한 인간과 로봇의 윤리 성찰을 고찰하고자 하며, 그 중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의 윤리적 실천 가능성에 도전하는 윤리 소프트웨어 개발 사례를 통해 오로지 강제 입력된 윤리 코드만으로 로봇이 과연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둘째, 로봇윤리는 인간의 편향성이 내재된 데이터를 학습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비윤리적 문제들을 고려하고, 더불어 국가와 문화 간의 윤리적 상대주의를 인정해야 한다. 셋째, 로봇윤리는 로봇을 위한 윤리 강령만이 아니라, 인간과 로봇이 서로 공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인간 윤리’가 전제되어야 한다.
As the field of robots is evolving to intelligent robots that can replace even humans’ mental or emotional labor, ‘robot ethics’ needed in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obots is becoming a crucial issue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ethics of robots and humans that is essential in this post-human age. It will deal with the followings as the main contents. First, with the cases of developing ethics software intended to make robots practice ethics, the authors begin this research being conscious about the matter of whether robots can really judge what is right or wrong only with the ethics codes entered forcibly. Second, regarding robot ethics, we should consider unethicality that might arise from learning data internalizing human biasness and also reflect ethic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or between cultures, that is, ethical relativism. Third, robot ethics should not be just about ethics codes intended for robots but reflect the new concept of ‘human ethics’ that allows humans and robots to coevolv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로봇윤리의 개념에 대한 고찰  III. 로봇도 윤리적 실천이 가능한가?  IV. 누구의 윤리를 학습하는가?  V. 다시 인간의 윤리로  VI. 결론 : 로봇은 인간을 닮아간다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08 9 보건의료 보건의료분야에서의 인공지능기술(AI) 사용 의도와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장묵 2017  217
2407 9 보건의료 초 연결시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용한 헬스케어 기술 구현 연구 / 정성훈 2016  217
2406 1 윤리학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윤수정 2016  217
2405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법제 현황과 개정방향 / 이창범 2016  217
2404 9 보건의료 의료법 제56조 의료광고금지 조항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최현숙 2015  217
2403 18 인체실험 Gamete Donor Consent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2015  217
240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7
2401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김주혁 2005  217
2400 1 윤리학 생명윤리 성찰을 위한 인간 몸의 인간학적 의미 고찰 / 정재우 2015  217
2399 14 재생산 기술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의 시행과 평가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216
239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관한 검토/원혜욱,백경희 2017  216
2397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김장한 2006  216
2396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기술의 발전 및 응용 / 조승우 외 2014  216
2395 8 환자 의사 관계 성년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상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문상혁 2015  216
239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2002  216
2393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2392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2018  215
2391 20 죽음과 죽어감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상징적 자살의 윤리학 / 조소명 2018  215
2390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의료 플랫폼 활성화 관점에서 본 개인건강기록(PHR) 관련 최신 연구동향 / 김동현 외 2018  215
2389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