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環境法 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20167 
독일법상 동물보호를 위한 단체소송 

= Einfuhrung der tierschutzrechtlichen Verbandsklage im deutschen Recht

  • 저자[authors] 송동수 ( Dongsoo Song ), 한민지 ( Minji Ha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環境法 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9No.1[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환경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1-20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동물보호법, 단체소송, 기본법 제20a조, 개방조항, 참여권, 정보권, 승인된 단체, 동물의 존엄성, 동물보호, Tierschutzgesetz, Verbandsklage, Art. 20a GG, Offnungsklausel, Mitwirkungsrecht, Informationsrecht, anerkannter Verein, Wurde der Kreatur, Tierschutz


초록[abstracts] 
[독일행정소송법의 기조는 주관적 권리구제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관적 권리침해의 주장은 원고적격을 인정받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며 행정법원법(VwGO) 제42조 제2항의 중심 내용이기도 하다. 통상 요구되는 원고적격 요건에 따르면 자신의 권리가 직접 침해되지 않는 한 원칙적으로 소(訴) 제기 가능성이 막혀있기 때문에 동물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침해를 주관적 권리침해라 주장하며 원고적격을 인정받는 것은 현행법상 매우 어렵다. 우리나라 또한 독일의 소송체계와 같이 주관적 권리구제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즉, 비윤리적이고 참혹한 사육현장의 실태로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개농장” 사건을 비롯하여 곳곳에 뿌리내리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동물학대 현장이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뉴스소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적 권리침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행 행정소송법상 예외적 규정의 존재 없이는 이를 구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인 것이다. 독일은 동일한 문제의식과 동물보호의무가 국가적 책무임을 명시적으로 규정한 기본법 제20a조의 규정을 바탕으로 동물보호를 위한 단체소송제도의 도입논의를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논의되고 있는 단체소송은 승인된 단체에게 주관적 권리침해의 주장 없이 공익을 보호할 목적으로 소를 제기할 수 있도록 원고적격을 부여하 도록 하며, 승인된 단체에게 동물과 관련된 사안에 있어서 참여권과 정보권을 부여하면서 동물보호라는 공익목적을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독일에서의 이와 같은 변화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동물보호법의 개정방향 및 독일과 유사한 우리나라의 행정소송체계에 있어 시사 하는바가 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08 2 생명윤리 첨단생명의료분야에 있어서 인폼드 컨센트 법리의 전개와 윤리위원회의 역할 / 이정현 2008  353
1307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연명치료중단행위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이백휴 2010  353
1306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3
1305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2001  353
1304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 / 최하주 1997  354
1303 15 유전학 법과학적 활용을 위한 식물 유전자검사 시험법 연구 / 한시내 외 2016  354
1302 18 인체실험 치과 임상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줄기세포 연구의 동향 / 전민수 2011  354
1301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5
130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1299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129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5
» 1 윤리학 독일법상 동물보호를 위한 단체소송 / 송동수 외 2017  355
1296 9 보건의료 현대의학의 '개별 맞춤 의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임영채 2012  355
1295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5
1294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 활용, 어디까지 왔나? / 권웅기, 김훈태 2017  356
1293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6
1292 20 죽음과 죽어감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죽음 이해와 죽음교육 / 신교남 2018  356
1291 4 보건의료 철학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의 실천과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허아영 2019  356
1290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128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최재원 2017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