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38201 
인간중심주의적 동물윤리의 가능성에 관한 소론 

= A Philosophical Essay on the Possibility of an Anthropocentric Animal Ethics

  • 저자[authors] 소병철 ( So Byung-chul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철학논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9No.-[2017]
  • 발행처[publisher]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9-13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동물의 도덕적 지위, 종차별주의, 가장자리 상황 논증, 폐쇄적 인간중심주의, 개방적 인간중심주의, Moral Status of Animals, Speciesism, Argument from Marginal Cases, Narrow-minded Anthropocentrism, Expansive Anthropocentrism

초록[abstracts] 
[이 글의 목적은 최근 들어 비난의 표적이 된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방식의 한계와 의의를 동물윤리의 관점에서 공정히 규명해 보려는 데 있다. 주지하다시피 오늘날 사람들은 종종 인간중심주의를 지구적 환경ㆍ생태 위기의 이데올로기적 진원으로 지목하여 공격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인간중심주의를 편향적으로 정형화하는 하나의 상투적 개념틀에 기생해 자라 온 측면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틀 속에 넣어져 주조된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이 여타의 자연적 존재보다 우월하다는 맹목적 믿음에 기초해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배와 착취를 정당화하는 거만스런 세계관으로 정의되기 일쑤다. 그러나 필자는 무조건 새롭고 광범한 외양의 `생명중심주의` 내지 `생태중심주의`로 인간중심주의를 대체하는 형이상학적 모험보다 구래의 폭군적 인간쇼비니즘을 보다 건전하고 설득력 있는 인간중심주의로 변모시켜 나가는 도덕적 자기계몽이 더 올바른 길일 수 있다는 생각에서 이 글을 기획하게 되었다. 이 생각을 동물윤리에 적용하여 구체화하기 위해 필자는 본문에서 `인간중심주의적 동물윤리`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는데, 이 작업은 호모 사피엔스 종에의 소속여부를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판단의 절대적 기준으로 삼지 않는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를 옹호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논변의 윤곽은 필자가 극복하자고 제안할 `폐쇄적 인간중심주의`와 수용하자고 제안할 `개방적 인간중심주의`의 구별을 통해서 드러날 것이다. 폐쇄적 인간중심주의는 도덕공동체의 성원권을 인간 종에 속하는 개체들에게만 배타적으로 부여한다. 그러나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의 속성과 유사한 동물의 속성에 감응할 것을 요구하는 식으로 도덕공동체의 외연을 확장해 나가는 윤리적 입장이다. 따라서 그것은 그러한 감응의 원천을 이성능력이나 감각능력처럼 동물이 인간과 다소간 공유하는 본성적 특징들에서 찾자고 제안한다. 필자는 이러한 개방적 인간중심주의가 일부 철학자들의 무차별적 종평등주의 주장보다 더 진지하고 책임 있는 윤리적 입장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88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8
138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유형과 인권감수성/김성은 2015  338
1386 5 과학 기술 사회 재활로봇의 기술 동향 / 송원경 2016  338
1385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인문사회학적 쟁점과 과제에 관한 연구 / 김진영, 허완규 2018  338
1384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와 IRB / 방은령 2013  339
1383 5 과학 기술 사회 부분-인간화 동물(Part-Human Animals)에 관한 시민 인식 및 규제 현황 / 모효정 2013  339
1382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2015  339
13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고찰 / 정화성 2017  339
138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하명옥 2010  340
137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정순둘, 김수현, 구미정 2014  340
137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137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17  340
1376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40
1375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인공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 이대희 외 2018  340
137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 김나연 외 2017  340
1373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김한솔, 염동문, 장유미 2019  340
1372 9 보건의료 병원 전 심정지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소생술 중단 기준 결정을 위한 분석 / 강현주, 정진희, 어은경, 배현아 2010  341
137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진흥의 딜레마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김인자 2016  341
1370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노인의료비 지출추계 및 장기재정 전망 / 이수연 외 2018  341
1369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 / 구종모 2013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