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59644 
임상시험과 자기위태화 

= Clinical Test and Self-Endangerment

  • 저자[authors] 김혁돈 ( Hyeok Don Ki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法學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1No.2[2013]
  • 발행처[publisher]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1-12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임상시험,자기위태화,피해자의 동의,설명의무,자기결정권,Clinical test,Self-Endangerment,agreement,risky action,justification of the procedural proceeding

초록[abstracts]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현대사회에서는 새로운 신약물이나 새로운 치료법이 등장하면 세간의 이목이 집중된다. 최근 심장수술에 있어 획기적인 신기술로 알려졌던 카바수술의 안전성이 여론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처럼 새로운 약물이나 시술은 그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유롭게 사용될 수는 없다. 이처럼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한 시술도 그 위험성은 아직 내재되어 있어 피험자가 위험의 발생을 무릎쓰고 시행된 임상시험에서 신체상해 등의 결과가 발생했을 때 형사법적인 가벌성을 어떻게 정서할 것인가가 문제된다. 임상시험과 같은 형태를 피해자 스스로가 위험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행위를 하거나 이에 가담하는 자기위태화로 평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독일의 법원에서는 행위자의 기여정도, 피해자의 인식정도에 따라 가벌성여부를 판단해 왔다. 도그마적인 근거지움은 다르더라도 피해자가 행위를 지배하였다고 볼 수 있거나 피해자가 결과발생에 관한 위험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는 한 이에 가담한 제3자의 가벌성은 면제되었다. 그렇다면 피험자의 생명과 신체에 위험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임상시험에 있어서도 이로부터 발생할 위험에 관한 정보가 피험자에게 충분히 전달되고 이에 기초한 동의가 이루어졌다면 임상시험으로부터 그러한 결과가 발생하더라도 형사책임이 문제되지는 않을 것이다. 더불어 동의능력이 결여되거나 약화된 자를 위하여 절차적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422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
4227 9 보건의료 왜, 지금 초고령사회 일본은 지역 & 재가의료에 집중하는가 / 김춘남 2018  68
4226 5 과학 기술 사회 국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기반 의료기기 설계방안 / 조수진 외 2017  68
4225 9 보건의료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임경민, 송동진 2018  68
4224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2018  68
4223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2013  68
4222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프레임워크 설계 / 신봉희, 전혜경 2019  68
4221 9 보건의료 의료관련감염에서 감시 개선을 위한 평가 / 박창은 2019  68
4220 9 보건의료 Equity and Population Health: Toward a Broader Bioethics Agenda 2006  69
4219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효율적인 동결방법 연구 동향 / 윤보애, 설혜원, 최영민 2012  69
4218 7 의료사회학 의료인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와 규제완화 / 정도희 2017  69
4217 9 보건의료 감염질환 진료시 희귀의약품 사용의 현황과 개선할 점 / 김민정 2015  69
4216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2011  69
421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양심적 거부에 관한 고찰 :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수호하는 의료인의 양심 / 김대균 2017  69
4214 9 보건의료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5  69
421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2007  69
»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자기위태화 / 김혁돈 2013  69
4211 9 보건의료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의 종합 관리 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 / 김현호 2018  69
4210 9 보건의료 포괄수가제 당연적용 전·후 진료비와 재원기간 비교 / 이고은 2018  69
4209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2018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