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46276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housing expenditure on childbirth : focusing on the households married since 2000

  • 저자[authors] 배호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ii, 170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한창근<br>부록: 혼인년도를 고려한 주거비 부담이 첫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br>참고문헌: p. 139-157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주거비 부담,생존분석,신혼부부,출산,한국노동패널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숙제가 되어버린 저출산 문제의 원인 중 하나로 주거비 부담에 주목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주거문제(부동산문제)는 가장 논쟁적인 정책영역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신혼부부를 비롯한 청년층의 주거문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의 정도가 적었으며, 이를 저출산 문제와 관련지어 주거문제나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합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주거비 부담이 출산과 어떠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저출산 문제가 비교적 최근에 들어 본격화된 사회문제임을 염두에 두고 한국이 합계출산율 1.3 미만의 초저출산 국가로 접어든 2000년대 들어 새롭게 혼인한 신혼가구를 대상으로 주거비가 그들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남편과 아내 그리고 가구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그들의 첫출산 뿐만 아니라 추가출산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KLIPS) 3차(2000년)~18차(2015년) 자료를 사용하여 기간에 대한 분석에 널리 이용되는 통계방법인 생존분석을 통해 신혼부부의 출산 속도(혼인 후 첫출산까지의 기간 및 첫출산 이후 추가출산까지의 기간)에 ‘주거비 지출액’이나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로 측정된 주거비 부담이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혼인 당시를 기준으로 ‘주거비 지출액’이 많은 가구일수록 첫출산의 가능성이 낮았고, 주거비 지출액을 금액의 크기에 따른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폈을 때도 지출액이 큰 범주에 속해있는 가구일수록 자녀출산의 가능성이 더욱 낮았다.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도 RIR이 높은 가구일수록 첫출산의 가능성이 낮았으며, 이를 OECD 등에서 주거비 부담 정도를 논할 때 기준으로 삼는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부담 범주에 속해있을수록 출산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 같은 양상은 추가출산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첫출산 당시의 주거비 지출액 또는 주거비 부담과 추가출산 간의 관련성을 살핀 결과에서도 주거비 지출이나 주거비 부담은 추가출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첫출산에 대한 분석에서 출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이 추가출산에서는 통계적인 유의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출산아수에 따라 자녀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차별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기존의 논의와도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첫출산과 추가출산 장려를 위한 정책방향이 달리 설계되어야 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과도한 주거비 부담이 출산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고 있음이 대표성 있는 통계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많은 신혼부부들이 출산의 걸림돌로 주거문제를 꼽고 있는 상황이 기우(杞憂)가 아님을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는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중요한 축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주택정책의 당위성을 찾을 수 있는 결과로도 볼 수 있으며,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방안의 하나로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정책이 적절할 수 있다는 판단을 가능케 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층의 혼인⋅자녀출산에 있어 가장 큰 부담의 하나로 작용하는 신혼부부의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들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68 1 윤리학 첨단치료 의료제품(ATMP)에 대한 유럽연합의 규제법 고찰 / 박수헌 2014  234
256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장기이식등록기관 종사자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시군구 보건소 공무원을 중심으로 / 김양호 2010  234
2566 2 생명윤리 생명윤리문화에 있어서 낙태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8  233
2565 1 윤리학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권건보 2013  233
2564 15 유전학 현행 생명윤리법상 유전자편집기술의 법적 쟁점 / 황만성 2017  233
2563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
2562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수가정책이 국내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의료기기 업체를 중심으로 / 박용철 2014  233
2561 15 유전학 산전유전진단 및 유전상담의 실제 / 오수영 외 2007  233
256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3
2559 12 낙태 낙태죄 존치론에 대한 반론 / 이석배 2018  232
255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우울증과 자살예방을 위한 동태분석 연구: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 김정기 외 2017  232
2557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활용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 인식조사와 법제 개선방향 모색 / 손영주 2016  232
2556 1 윤리학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에 관한 고찰 / 김종덕 2016  232
2555 2 생명윤리 첨단융복합의료제품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임상시험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미지 2016  232
255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를 위한 간이식 전 교육 및 상담 / 하희선 2015  232
2553 2 생명윤리 윤리 심포지엄_각종 의무기록 작성에 있어서 알아야 할 의료윤리 : 각종 증명서 발급의 윤리적 문제 / 권복규 2013  232
255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255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1
2550 12 낙태 치료적 낙태와 태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장동익 2019  231
2549 1 윤리학 인공지능과 법률 서비스:현황과 과제 / 전정현, 김병필 2019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