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광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92954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rception on the government policy trust and social environment on the child birth intention

  • 저자[authors] 이보라

  • 발행사항 서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xiii, 155 p.: 삽도, 표; 27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 박종구<br>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광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2018.2

  • DDC[DDC] 350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12)

  • UCI식별코드 I804:11012-000000010424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저출산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그 영향요인을 반영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첫째, 정부의 출산정책에 대한 신뢰, 둘째, 자녀를 낳고 기를 수 있는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 셋째, 경제적 부담감, 넷째, 자녀와 관련한 개인의 가치관이 출산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Model 1).   또한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떠한 조절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Model 2).   추가적으로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거시적 사회구조와 개인의 미시적 행동의 연계를 통한 ‘출산 의사결정을 위한 사회구조적 접근모델’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 20세 이상 40세 미만의 미혼·기혼 남녀 480명이었으며, 설문 조사는 온라인(Google 설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초통계분석, 집단 간 차이분석, 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Model 1의 정부정책신뢰, 사회 환경인식, 경제적 부담, 개인 가치관이 출산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가치관이 긍정적이고,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높을 때 출산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부정책신뢰의 세부정책영역에서는 임신·출산정책, 노동정책의 신뢰가 높을수록 출산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환경인식의 세부영역에서는 지역환경, 직장환경이 정(+)의 방향으로, 양육환경은 부(-)의 방향으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제적 부담의 세부영역에서는 양육비에 대한 부담이 부(-)의 방향으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나 교육비에 대한 부담은 정(+)의 방향으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가치관의 세부영역에서는 자녀의 필요성, 자녀에 대한 가치가 긍정적일수록 출산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odel 2의 정부정책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부의 정책신뢰 수준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과 출산의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부의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정부정책신뢰’와 출산·양육을 둘러싼 ‘사회 환경인식’이 상호작용의 효과를 발휘할 때, ‘출산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생애주기(미혼기, 기혼 무자녀, 기혼 유자녀)에 따른 집단 간 출산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유자녀집단에서 출산의도가 2.30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혼 무자녀집단에서 1.61명, 미혼집단은 1.15명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별로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혼집단은 개인 가치관과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긍정적일수록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혼 무자녀집단에서는 개인 가치관만이 출산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혼 유자녀집단에서는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와 사회 환경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출산의도에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신뢰’이론을 토대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를 측정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출산 의사결정을 위한 사회구조적 접근모델’을 통해 초저출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변화, 사회구조와 개인의 가치관 등 거시적 사회구조와 개인의 미시적 행동의 연계를 시도한 점이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정부정책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것은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정부정책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정책적 측면에서 출산력을 높이기 위한 가족의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정책설계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를 실시하기 위해 개인의 가치관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제도화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4
1288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1
1287 15 유전학 Council of Europe adopts protocol on genetic testing for health purposes 2009  121
1286 1 윤리학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서치원 2018  120
1285 22 동물복지 동물의 권리와 돌봄의 문화 / 최성희, 김용규 2019  120
1284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20
1283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 장난순 외 2018  120
1282 9 보건의료 한국인 고혈압 환자의 의료접근성 및 미 충족 의료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 오희영 외 2017  120
128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 주강진 외 2017  120
»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20
1279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20
1278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20
1277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1276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1275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숨은 그늘 / 주일우 2001  120
1274 15 유전학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방안 / 안두현 2000  120
1273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9
1272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9
1271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9
1270 1 윤리학 인공지능 및 사이버휴먼 시대의 윤리적 논쟁과 규범윤리의 요청 / 김광연 2018  119
1269 1 윤리학 저작권침해소송에서 저작물성 여부에 관한 중간판결(中間判決)의 의미와 실효적 운용방안 /차상육 2018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