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7969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o Fertility Intention and Childbirth of Married Women

  • 저자[authors] 조아라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77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익중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2

  • DDC[DDC] 3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47766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과 관련한 연구 및 향후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출산은 출산계획 또는 의도가 있고 난 후 일어나므로 기존 연구에서는 출산의도를 출산대신 종속변수로 사용해왔으나, 출산의도가 실제 출산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밝힌 주요변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가족적 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계획이나 생각을 뜻하는 출산의도와 실제 출산행위를 뜻하는 출산을 동시에 탐색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무자녀에서 첫째자녀, 첫째자녀에서 둘째자녀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각각 살펴보았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여성가족패널(KLoWF)의 1차에서 5차연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출산력을 파악할 수 있는 종단연구를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만 45세 미만이면서 배우자가 있는 기혼여성으로 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출산의도와 출산을 기준으로 하여 첫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모형1), 첫째자녀 출산(모형2), 둘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모형3), 둘째자녀 출산(모형4)으로 나누어 총 4개의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형1(첫째 출산의도)은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2~5차 조사에 참여할 때마다 일관되게 출산의도가 있다 혹은 없다고 응답한 132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혼여성의 대부분이 첫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가 있었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첫째 출산의도가 있었다. 모형2(첫째 출산)는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5차에 출산경험이 없다 혹은 있다고 응답한 224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반수가 첫째자녀를 출산하였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남편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부성휴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제 첫째자녀를 출산하였다. 모형3(둘째 출산의도)은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있으며, 출산 자녀수가 1명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2~5차 조사에 참여할 때마다 일관되게 출산의도가 있다 혹은 없다고 응답한 336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혼여성의 대부분이 둘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가 없었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아내의 일자리가 없을수록, 본인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남편 가사분담만족도가 높을수록, 부성휴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둘째 자녀에 대한 출산의도가 있었다. 모형4(둘째 출산)는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있으며, 출산 자녀수가 1명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5차에 출산경험이 없다 혹은 있다고 응답한 674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이 둘째자녀를 출산하지 않았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부성휴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제 둘째자녀를 출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또는 둘째자녀를 계획하게 되는 요인과 실제 출산을 결정하게 되는 요인을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저출산 현상의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3148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과정 / 유무영 2006  136
3147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의 보조생식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장혜란 2015  136
3146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비 상승요인 분석 2017  136
3145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에 존엄사를 위한 존엄치료의 역할 / 김유숙 2017  136
3144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산업 리베이트관행의 경쟁법적 쟁점과 과제 / 이봉의 2009  136
» 13 인구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조아라 2018  136
3142 14 재생산 기술 성정체성장애(GID)로 인한 성별변경과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AID) 자녀에 대한 친자추정 법리/김민규 2018  136
314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형 로봇시스템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강문혜, 송선영 2019  136
3140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의 국제의료서비스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홍혜정 2019  136
3139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313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결정에서 의료의 한계/안용항, 김혜정 2010  137
3137 8 환자 의사 관계 분업적 의료행위에 따른 형사책임관계/정웅석 2014  137
3136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덴마크 정부의 정책 및 입법 방안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3  137
3135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전 total lymphoid irradiation(TLI)이 신장이식후 거부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기근 1982  137
313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37
3133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수리 모형에 관한 연구 / 김정아 2011  137
3132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3131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연구 / 하정옥 2015  137
3130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서 생성되는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가치 / 최준영 2015  137
3129 8 환자 의사 관계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개인의료, 건강정보 보호의 중요성 / 이상윤 2016  137